[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 건수가 284개로 늘어나면서 복구율이 40%를 넘어섰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3일 오후 9시 기준, 전체 709개 정부 전산시스템 가운데 284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는 오후 6시 기준 273개에서 11개가 추가된 수치로, 복구율은 40.1%다.
이날 추가로 정상화된 시스템에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고용노동부의 퇴직연금취급실적관리시스템, 해양수산부의 지능형 해양수산재난정보(부분 복구) 등이 포함됐다.
복구 현황을 등급별로 보면, 1등급은 40개 중 31개(77.5%), 2등급은 68개 중 35개(51.5%), 3등급은 261개 중 118개(45.2%), 4등급은 340개 중 100개(29.4%)가 복구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전산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구분해 관리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15일 이후 복구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했던 대전 본원 5층 8전산실은 지난 11일 분진 제거와 전원공사 작업을 마치고 전력 공급을 재개했다.
피해가 컸던 7·7-1전산실의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5~6전산실로 옮겨 신규 장비를 설치한 뒤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할 시스템은 현재 20개로 선정됐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협의 과정에서 대상이 늘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기준으로는 대구센터로 이전할 20개 시스템을 정했다"며 "일부 시스템은 이미 민간 클라우드사 및 소관 부처와 협의를 마치고 이전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 |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뉴스핌DB]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