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12시 기준 행정시스템 복구율 45.8%
대구센터 이전 정부 행정시스템 20개, 관련 부처와 일정 논의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운영이 중단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일부를 대구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일정 논의에 착수했다. 또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가 복구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16일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통해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을 검토 중인 시스템은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 소관부처 5개와 복구 일정 등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일(17일) 대구센터에서 이전 대상기관 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조속하고 안정적인 이전을 위한 논의를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기자=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3gdlee@newspim.com |
앞서 정부는 불이 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 있었던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로 이전 재설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정상화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대전 센터의 다른층 전산실의 여유 공간에서 시스템을 정상화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대구센터로 이전이 확정된 시스템은 20개다.
또 정부는 국민 생명·안전 등과 밀접하지만, 취급 등급이 낮았던 행정시스템은 관련 부처와 협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시스템의 중요도와 이용률 등을 고려해 행정시스템을 1~4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시스템은 총 40개다.
김 차관은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등급 조정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국민불편 사항을 현장에서 점검해 신속히 보완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화재 이후 정부가 행정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정상화 수순에 접어든 시스템도 늘고 있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으로 709개 시스템 중 325개(45.8%)가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1개 (77.5%), 2등급 시스템은 68개 중 39개(57.4%)가 복구됐다. 지난 13일부터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가 복구돼 관공서 등에서 간편한 본인 인증이 가능해졌다.
복구되지 않은 384개 시스템 중에서 288개의 시스템을 이달 말까지 정상화하겠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또 76개 시스템은 다음달 20일까지 대전센터에 복구할 예정이다.
한편 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7일까지, 산업통상부의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다음주 초까지 복구를 마칠 계획이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