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미 육군과 재무부가 월가 사모펀드 자금을 끌어다 군(軍) 인프라 개보수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21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노후화된 군 인프라 개선에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하지만 배정된 자금은 한정적이어서, 민간 자본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겠다는 구상이다.
이 과정에서 군 기지 내 유휴 무기 창고나 미활용 부지를 민간 데이터 센터 사업자 등에 개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군산복합체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번 구상을 주도하는 대니얼 드리스콜 육군장관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모두 월가에서 잔뼈가 굵은 '금융 기술자'들이다.
FT에 따르면 드리스콜 장관과 베선트 장관은 지난 20일 아폴로와 칼라일그룹, KKR, 서버러스 등 월가를 대표하는 사모펀드 15곳 관계자들과 회동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이 자리에서 "남는 무기고와 창고 등 미군이 보유한 유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등, 육군 인프라 개선에 도움이 될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자금조달 모델이 필요하다"며 사모펀드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했다.
그는 "단순한 보여주기식 논의가 아닌, 실제로 추진 가능한 프로젝트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행보는 트럼프 행정부가 13조 달러 규모의 사모펀드 자본을 군사 전략 분야로 끌어들이려는 정책 흐름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드리스콜 장관은 데이터센터와 희토류 정제시설을 예로 들며, 정부 소유 토지를 민간 기업에 임대하거나 토지 사용 대금을 '컴퓨팅 파워'나 '희토류 생산물'로 상계하는 모델까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금 대신 컴퓨팅 자원(컴퓨팅 사용)으로 국유지 임대료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회의에서는 육군 기지 내 데이터센터 건설 및 임대 등 신속한 사업 추진 방안과 자본비용 절감 아이디어가 함께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월 미국 연금기금의 사모펀드 투자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이후, 월가 자본의 방산 및 인프라 분야 직접 투자가 활기를 띨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 참석자는 "이번 회의는 매우 진지하고 폭넓게 진행됐으며, 육군 공급망 자본 조달의 효율화 방안이 다양하게 논의됐다"고 말했다. 그는 "노후 인프라 개보수, 유휴 부지 담보 자금조달 등 다양한 자금조달 아이디어가 오갔다"고 덧붙였다.
다른 참석자도 "베선트 장관과 드리스콜 장관이 사모펀드 업계와 협력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보였다"고 전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FT와의 인터뷰에서 "노후 장비와 시설을 교체하려면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가 필요하지만 실제 예산은 150억 달러에 불과하다"며 "외부의 창의적 해법 없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월가의 금융기술이 동원돼야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는 현재 '육군 변혁(전환) 이니셔티브'를 통해 빅테크 기업 및 방산 스타트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주 미 육군협회(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연설에서도 "실리콘밸리식 접근법이 육군 혁신에 이상적"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7월 국방부가 미국 희토류 생산업체 MP 머티리얼스의 지분 10%를 인수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참고가 된다고 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육군 역시 민간 기업의 지분을 직접 매입하고, 핵심 광물 비축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고 FT에 밝혔다.
그는 "육군이 확보한 희토류를 공급업체에 판매해 중간재를 생산하게 하고, 완제품을 다시 군이 구매하는 구조도 검토 중"이라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방산업체에 지급할 무기 대금의 일부를 희토류 중간재 납품으로 상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운용자산 규모 650억 달러의 서버러스는 '전략적 공급망 펀드(Strategic Supply Chain Fund)'를 통해 미국 국가안보와 관련된 핵심 기업에 활발히 투자하고 있다. 칼라일그룹 역시 오랜 기간 방산기업과 방위산업 프로젝트에 투자해왔다. 이날 회의에는 아폴로와 KKR, 어드벤트 인터내셔널 등 주요 월가 사모펀드들이 참석했다.
![]() |
미국 국방부 청사 '펜타곤'(Pentagon). [사진=로이터 뉴스핌] |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