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측정·데이터 분석 통한 관리
가정·어린이집 연계 관리 강화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가 유아 비만 문제를 체중 관리 차원이 아닌 '아이의 평생 건강을 지키는 출발점'으로 보고, 어린이집에서 가정까지 연계되는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4~7세 유아와 보호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비만예방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정기적인 신체측정,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일상 속 신체활동 활성화, 측정 정보 분석·연구 등 '측정→관리→실천→분석' 전 과정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는 우선 모집이 완료된 500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사업 모델을 구축한 후, 이를 전체 어린이집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체계를 마련한다.
![]() |
유아 체력 측정 모습 [사진=서울시] |
시는 500개 어린이집 유아 1만40명을 대상으로 연 2회 신장·체중(비만도), 유연성, 근지구력,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등 6개 항목의 체력을 측정하며, 보호자에게는 건강행태 설문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측정 결과는 '성장·발달 리포트' 형태로 보호자에게 문자 알림으로 전달되며, 아이의 체력 수준에 맞춘 신체활동 영상 콘텐츠도 제공된다.
수집된 데이터는 대한비만학회와 함께 분석해 연령·성별·지역별 건강 격차와 유아비만 위험요인을 찾아 정책 개선에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유아 비만 예방에서 가정과 어린이집의 협업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보육 현장과 가정 전반에 걸쳐 실질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놀이형 신체활동 지도법 실습 교육을 진행했으며, 500개 어린이집에는 신체활동 교구 세트와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공해 매일 수업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1만40명 유아 가정에도 신체활동 놀이북, 키재기 포스터 등의 교육 자료를 배포해 건강한 생활습관이 이어지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 |
서울아이 뛰움 체조 경연대회 [사진=서울시] |
한편 시는 유아들이 몸을 움직이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제3회 서울아이 뛰움 체조 경연대회'도 개최, 큰 호응을 받았다. 올해 대회에는 140개 팀과 1637명의 유아가 참여했으며, 많은 가족과 보호자가 함께 응원해 현장은 활기가 가득했다. 18대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8개 팀이 본선 무대에 올랐고, 열정적인 경연을 펼쳤다.
'서울아이 뛰움 체조'는 기본 움직임·스트레칭·근력 향상 동작 15가지로 구성돼 있으며, 서울시가 2023년 개발한 콘텐츠로 아이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친숙한 캐릭터와 음원을 활용하고 있다. '뛰움 체조' 방법 영상은 누적 조회수 29만 회를 초과해 유아 신체활동 확산의 주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대상은 새서울어린이집이 차지했고, 서울아이상에는 ▲구립능동어린이집 ▲아동회관어린이집 ▲별나라어린이집 ▲항동어린이집, 뛰움상은 ▲헬리오가람어린이집 ▲디아크리온어린이집 ▲성진어린이집이 수상했다. 경연대회의 결선 현장은 라이브 서울 링크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정소진 건강관리과장은 "유아기는 평생 건강 습관이 만들어지는 결정적인 시기"라며 "아이들이 어린 시절부터 몸을 움직이는 즐거움을 배우고, 자연스럽게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