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승계작업 진행, 5인 후보군 검증
최우형 연임 여부, 10배 순익 등 강점
IPO 업무 고려해도 주주단 판단 변수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케이뱅크 최우형 은행장의 임기 만료가 12월 31일로 다가오면서, 케이뱅크는 경영 승계 절차를 진행 중이다. 최근 실적 개선과 리더십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최 행장의 연임 가능성은 크지만, 주요 주주들과의 관계 속에서 깜짝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케이뱅크는 지배구조법 시행령의 최고경영자 경영승계 계획 내용을 반영해 결정한 정관 및 은행 지배구조 모범 규정에 따라 임기 만료 3개월 전부터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를 통해 승계구도를 진행하고 있다.
![]() |
|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사진=뉴스핌DB] |
사외이사 3인, 비상무이사 2인으로 구성된 임추위는 오인서 사외이사가 위원장을 맡고 있다. 임추위는 관리하는 내부 후보군에 더해 주주, 이해 관계자 및 외부 자문기관의 추천을 통한 외부 추천 후보군을 포함해 5명 내외로 후보군을 마련한 뒤 서류, 자격, 평판, 면접 등 여러 단계의 검증을 거쳐 후보를 최종 선발한다. 임추위가 추천한 최종 후보자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주주총회 결의로 대표이사에 선임되면 경영승계 절차가 종료된다.
관심사는 최우형 현 은행장의 연임 여부다. 케이뱅크는 2017년 출범 이후 초대 행장인 심성훈 행장이 임기 만료 후 경영 안정 차원에서 한시적으로 6개월 임기를 연장한 사례가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연임을 한 사례가 없어 최 행장이 연임에 성공한다면 최초다.
최 행장의 강점은 높은 실적이다. 케이뱅크는 2024년 1281억원의 당기순이익으로 전년도 순익 128억원의 10배 이익을 거뒀다. 케이뱅크는 올해 2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68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고객 수가 2023년 말 953만명에서 2025년 6월 기준 1400만명을 넘어섰으며, 자산 규모도 2023년 말 21조4218억원에서 2025년 1분기 30조3945억원으로 성장했다.
2024년 한 해에만 신규 고객 321만명이 신규 가입했고, 2025년에도 매월 25만명 이상이 유입될 정도였다. 이와 함께 케이뱅크가 최대 현안인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연속성을 이어가기 위해 최 행장이 연임할 가능성은 적지 않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케이뱅크의 역대 행장 선임 과정에서 주요 주주단의 인사가 선임된 선례가 있는 만큼 주주단의 전략적 평가가 최종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 행장은 1966년생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 하나은행 입행 후 9년간 신용관리와 외환, IB 등 은행 핵심업무를 경험했고, BNK금융그룹 디지털&IT부문장, 경남은행 디지털금융본부장을 역임하며 비대면 금융, 빅데이터, 클라우드, 핀테크 실무 경험도 보유했다.
최 행장이 높은 실적을 강점으로 케이뱅크 역사상 최초의 연임 은행장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dedanh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