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기아가 전기차 기반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앞세워 일본 EV 밴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PBV 사업 확대를 선언한 가운데, 일본의 물류 혁신과 탄소중립 수요를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기아는 29일(현지시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에서 PV5를 일본 시장에 처음 공개하고, 2026년 공식 진출 계획을 밝혔다. 일본 정부가 2030년 전기차 비중을 30%까지 확대하는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 중인 만큼, 전동화 상용차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 |
| 2025 재팬모빌리티쇼' 기아관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
기아는 이미 한국과 유럽에서 PV5 판매를 시작했으며, 일본을 기점으로 중동·아시아·아프리카까지 PBV 판매 권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일본은 물류 증가, 인구 고령화, 지역 교통 공백 등으로 이동 서비스 대안이 필요한 시장이어서 PBV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기아는 지난해 일본 주요 종합상사 소지츠와 현지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합작법인 '기아 PBV 재팬'을 설립했다. 양사는 판매·서비스·운영 체계를 현지에 구축하며 진입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첫해에는 딜러 8곳과 서비스센터 100곳을 확보해 전국 단위 네트워크를 넓힌다는 목표다.
2026년부터 일본에서 본격 판매될 PV5는 PBV 전용 플랫폼(E-GMP.S)을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전용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을 갖춰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바디 시스템을 통해 차체와 도어, 테일게이트 등 주요 구조를 모듈 방식으로 조립해 최대 16개 구성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효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회전반경 5.5m, 차량 길이 4695mm 등 일본 도로 환경에 최적화된 제원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차 특화 사양인 V2L·V2H 기능을 활용하면 지진 등 재난 상황에서도 응급 전력 공급원이 될 수 있다.
기아는 내년 PV5 패신저·카고 모델을 우선 출시하고, 이후 휠체어 탑승형(WAV)과 캠핑 특화 모델을 추가해 시장 수요를 넓혀갈 계획이다. 2027년에는 상위 모델 'PV7'도 투입한다.
기아는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공간을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자유자재로'를 콘셉트로 전시장을 구성하고 활용성을 강조했다. 승객용·화물용·돌봄 이동용·캠핑 콘셉트 등 다양한 형태의 PV5를 선보이며 PBV만의 확장성과 맞춤형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했다. 이 밖에 부착형 액세서리 플랫폼 '애드기어', 지속가능 소재, 브랜드 콘텐츠 등을 함께 배치하며 PBV 생태계를 드러냈다.
김상대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장은 "기아의 일본 진출은 단순한 시장 확대가 아니라 탈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현실적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라며 "현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신뢰받는 모빌리티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일본 사회와 함께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기아는 PBV가 일본의 탄소저감과 물류 효율화, 지역 이동 문제 해결에 직접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용 플랫폼 기반 EV 기술력과 맞춤형 바디 전략을 무기로 글로벌 PBV 시장 주도권 경쟁에서 한발 앞서 나선다는 계획이다.
chanw@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