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안정·미래투자 위한 '성장재정' 운영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가 2026년도 예산안을 7조6823억원 규모로 편성해 광주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전년도(7조6043억원)보다 780억원(1.0%) 증가한 규모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내년도 일반회계는 올해보다 0.2% 증가한 6조2725억원, 특별회계는 5.0% 늘어난 1조4098억원으로 각각 편성됐다. 지방세와 세외수입 등 자체 수입은 올해보다 3.9% 감소했지만 국고보조금 등 의존 수입이 7.4% 증가했다.
![]() |
| 2026년 예산안 7조6823억 편성. [사진=광주시] |
이번 예산안은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 함께 행복한 광주'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으로 편성했다. 국정과제와 연계한 지역 대표사업 추진,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과 시민 삶의 질 제고에 중점을 뒀다.
광주시는 민생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소상공인 특례보증자금(75억5000만 원), 구조고도화자금(400억 원), 상생카드 발행 지원(410억 원) 등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청년월세(79억6000만 원), 청년구직활동수당(50억 원), 일경험드림 사업(77억 원) 같은 청년 정책도 이어간다.
첨단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AI 2단계 AX실증밸리 조성(73억 원),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 본격 운영(103억 원)의 예산도 편성됐다.
또한 지역혁신중심대학 지원체계(RISE) 구축(879억4000만 원)과 글로컬대학 육성사업(338억 원)을 통해 지역 인재 양성을 강화한다.
상생돌봄 분야로 통합돌봄 체계 구축(74억3000만 원), 광주형 평생주택 건립(122억9000만 원)도 포함됐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의 '대·자·보 도시' 전환을 지속 추진한다.
특히 광주형 대중교통비 환급서비스인 'G-패스(77억 원)'를 이어가며 시민참여형 친환경 교통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여름철 극한호우에 대응하기 위한 우수저류시설 설치(55억 원), 취약지역 주거개선(64억7000만 원) 등 사업도 강화한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경기회복 둔화로 재정 여건이 좋지 않지만 인공지능,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등 혁신성장 분야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미래를 준비하는 재정 운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bless4y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