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10월 금융시장 동향'...가계대출 증가폭 3조5000억원↑
기타대출 1.4조원 증가 전환, 주식 투자·주택거래 선수요·장기 추석연휴 등 요인
은행 예금 22.9조 줄고 자산운용사 수신 50.6조 확대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10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3조원대로 확대됐다. 정부가 10월 15일 내놓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여파로 주택담보대출은 증가폭이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3조5000억원 증가한 1173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2월(3조3000억원)부터 9개월 연속 상승이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지난 9월 2조원대로 줄었다가 10월 들어 다시 반등한 모양새다.
![]() |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 뉴스핌DB] |
대출종류별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34조8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 1000억원 늘었다. 증가폭으로 보면 9월(2조5000억원) 대비 소폭(4000억원) 줄어든 수치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238조원으로 전월보다 1조4000억원 늘었다.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연휴 등에 따른 자금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증가 전환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여러가지 상황을 봤을때 국내외 주식이 많이 상승하면서 투자수요가 늘어난 점, 주택거래 선수요 관련 자금조달 수요, 긴 추석 연휴에 따른 자금 수요 등이 기타대출 증가에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규제로 억눌린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기타대출로 전가, 가계 부실을 키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이에 박 차장은 "현재 기타대출 규모가 굉장히 크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주식 투자 및 주택 자금 조달 수요 등 변동성이 큰 상황이어서 증가세 지속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주택담보대출 흐름에 대해서는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상승률이 축소되고 있긴 하나 일부 비규제 지역에서 풍선효과 조짐도 일부 나타나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11월 이후에는 9월, 10월에 주택거래가 늘었던 경향이 있어 주담대 증가량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1366조원으로 5조9000억원 늘었다. 증가폭은 전월보다 6000억원 높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2000억원, 5조7000억원 증가, 중소기업 증가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대기업의 경우 전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에도 운전자금 수요 감소, 대체조달 수단 활용 등으로 증가폭이 소폭에 그쳤고 중소기업은 주요 은행들의 대출영업지속, 10월 말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규모가 늘었다.
은행권 수신(예금)의 잔액은 2490조4000억원으로 9월 대비 22조9000억원 감소했다. 특히 수시입출식예금이 39조3000억원 감소하면서 전체 잔액을 상당폭 줄였다.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예치됐던 법인자금 유출, 부가가치세 납부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정기예금은 13조6000억원 늘었다.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지자체 재정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증가 전환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주식형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중심으로 50조6000억원이나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MMF는 분기말 유출된 법인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16조2000억원 증가했고 주식형펀드는 국내외 펀드 유입규모가 확대되며 22조원 불었다.
romeo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