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 인정률 하락·총량제 제한 속
'양로 기반 중간시설' 주목
케어닥 "케어가 본질"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시니어 주택 시장에서 급격한 고령화와 장기요양보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기존 요양원과 실버타운 사이를 메우는 '중간 단계 시니어 하우징'이 해법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 |
| 이선열 케어닥 부대표가 13일 '제20회 시니어 스마트 하우징 밋업데이'에서 '케어서비스 기반 시니어 하우징 사업'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정영희 기자] |
14일 케어서비스 플랫폼 '케어닥'은 '제20회 시니어 스마트 하우징 밋업데이'에서 시니어 하우징의 핵심은 '케어'라며 급격한 고령화 속에서 공공 요양시설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케어서비스 기반 시니어 하우징 사업'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선열 케어닥 부대표는 "노인의 욕구는 나이가 들어도 사라지지 않지만, 신체·인지 기능 변화에 따라 공간과 서비스 형태가 달라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령층은 ▲스스로 활동이 가능한 '활동형 노인' ▲어느 정도 도움이 필요한 '세미 케어형 노인' ▲통증과 불편함 완화를 우선하는 '요양형 노인'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공간과 서비스 구성을 필요로 해 단순 임대형 실버타운만으로는 세분화된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
이를 고려해 시니어 하우징을 기획하려면 법적 기준에 따른 인력 투입이 큰 변수라고 설명했다. 노인복지주택, 양로시설, 요양시설은 각각 요구되는 투입 인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케어닥은 인력 투입 구조가 상대적으로 적고 돌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양로시설 기반 중간 단계 시니어 하우징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장기요양보험 재정 악화로 요양등급 인정률이 낮아지면서 탈락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14만명이 등급 판정 문턱을 넘지 못했다. 요양시설 총량제와 지방자치단체 재정 부담 영향으로 경기 의정부·양주·포천·용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신규 요양원 인가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요양등급을 받았음에도 시설에 가지 못하고 자택에서 가족 돌봄에 의존하는 '돌봄 사각지대' 노인이 200만명 이상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 부대표는 "실제 운영 중인 시니어 하우징의 입주자 중 약 40~50%가 요양등급자이지만, 이들이 요양원 대신 전액 자 부담으로 중간 시설을 선택하고 있다"며 "기존 시설로는 충족되지 않는 중간 수요층이 분명히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규모별 사업성 차이도 제시했다. 50실 이하 소규모 시설은 매출 규모 한계로 수익성이 떨어지지만, 100실 이상 시설은 시설장 등 필수 인력이 동일해 고정비 절감 효과가 커진다는 분석이다. 이 부대표는 "시니어 하우징은 단순한 주거 상품이 아니라 케어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여야 한다"며 "노인의 건강·인지·정서 상태 변화를 고려한 공간 구성과 케어서비스가 결합해야 시장에서 선택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케어닥은 2018년 시작된 간병·케어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현재까지 약 2700억원의 누적 거래액을 기록했다. 요양병원 120곳, 종합병원 30곳과 제휴를 맺고 있다. 방문요양·시니어 하우징을 포함해 26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