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적 투명성·소통 부재' 도마 위
[광양=뉴스핌] 권차열 기자 = 한국전력공사의 광양 송전선로 건설 사업 설명회가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결국 무산됐다. 이번 사태로 한전의 절차적 투명성과 실질적 소통 부족 문제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전은 21일 광양읍사무소에서 지역 마을 이장 80여 명을 대상으로 순천-세풍, 세풍-광양, 강진-광양, 광양-신장수 등 4개 구간 송전선로 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했다.
그러나 사업 개요를 PT(프레젠테이션) 방식으로만 설명했고, 관련 자료는 별도로 제공하지 않았다. 대부분 고령층인 참석자들은 "자료 없이 화면만으로는 이해가 어렵다"는 불만을 표출했다. 경제·환경적 피해를 이미 겪고 있는 주민들도 "일방적 전달만 있었다"고 지적했다.
![]() |
| 21일 광양읍사무소에서 지역 마을 이장 80여 명을 대상으로 광양지역을 통과하는 4개 구간 송전선로 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했다. [광양=뉴스핌] 권차열 기자 = 2025.11.21 chadol999@newspim.com |
특히 광양이 이미 충분한 전력 자립도를 갖추고 있음에도 외부 송전에 목적을 둔 송전선로가 추가로 계획된 점, 노선 선정 기준과 사업 추진 절차의 불분명함이 주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결국 이장단은 설명회가 끝나기 전에 대부분 자리를 떴다.
마을 이장단은 "실질적 협의와 자료 제공 없이 형식적 설명회만 되풀이된다"며 "추가 설명회와 구체적 자료 제공이 없는 한 갈등만 심화된다"고 비판했다.
이날 설명회는 진행 과정에서 문의와 이의제기에 대한 응답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사업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이나 보완책 마련이 전무한 채 안내만 반복됐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숙의 없이 사업을 밀어붙이는 '패스트트랙'식 행정에 대한 불신이 전국의 지방 에너지 정책 대화 구조의 문제와 연결돼 있다고 지적한다.
광양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실제로 최근 경북, 전남 등 타 지역에서도 한전의 송전선로 사업과 관련해 주민 소통 부재로 인한 갈등과 설명회 무산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공기업의 투명성 부족 과 지역사회와의 협력 회피 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 없이 사업을 강행할 경우 대규모 갈등과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결국 한전이 지역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채 부실 자료로 형식적 설명회만 반복한 것이 근본적 문제로 사회적 합의 없는 송전선로 사업 추진은 공동체 갈등만 가중시키는 만큼, 향후 한전과 주민간 신뢰 회복을 위해 투명한 자료 공개와 실질적 소통 창구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chadol9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