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발표
AI 농산물 플랫폼·국세 상담사 포함
국민 체감형 AI로 산업과 삶 혁신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정부는 국민이 일상에서 직접 체감하는 'AI 농산물 알뜰소비정보 플랫폼'과 'AI 국세정보 상담사' 등 핵심 서비스를 앞세워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2025년 11월 24일 오전, 첫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등 10개 AI 중점 정책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국민 체감형 AI 서비스부터 경제·산업 혁신, 미래과학 경쟁력 강화까지 전 분야를 아우르며 전국민의 삶과 산업 구조를 혁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AI 민생 10대 프로젝트의 핵심은 '일상생활 혁신'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는 소비생활, 민원행정, 사회안전망 등 국민의 실생활과 직결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는 정부의 최우선 정책이다. 대표적으로 'AI 농산물 알뜰소비정보 플랫폼'은 전국 농산물 가격, 품질, 재고 등 방대한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하고, 소비자에게 가장 저렴하고 품질 좋은 구매처를 안내한다. 정부는 이 서비스를 통해 국민 생활비 절감, 구매 정보 접근성, 시장 투명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내다본다.
![]() |
|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추진방안 2025.11.24 biggerthanseoul@newspim.com |
'AI 국세정보 상담사'는 세금·민원 절차를 자동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세금정보와 신고 상담을 제공하는 AI 시스템이다. 복잡한 행정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효과와 함께, 납세자의 편의성·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이외에도 ▲AI 창업·경영 컨설턴트(소상공인 창업·경영지원) ▲인체적용제품 안전정보AI(건강·위해관리) ▲국가유산 AI 해설사(문화유산 체험 강화) ▲모두의 경찰관(AI 치안서비스) ▲AI 인허가 도우미(행정서비스 혁신) ▲AI 보이스피싱 차단 ▲위기청소년 선제 대응 ▲AI 해양위험분석 등 10대 프로젝트를 전방위로 확대 적용한다.
◆ 내년까지 AI 모델 개발 완료 후 2027년부터 서비스 확산
이번 정책 발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총리 체제 출범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규정' 제정(11월 21일 공포·시행)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이날 과천 정부청사에서 열린 첫 과학기술장관회의에서 국민 삶과 국가경쟁력을 동시에 혁신하는 '국가 AI 대전환(AX)'이 1호 안건으로 기습 상정·확정됐으며 각 부처 장관, 기관장, 민간 전문가가 모두 참석해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24 gdlee@newspim.com |
정부는 내년까지 각 사업별 데이터 구축과 AI 모델 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부터 서비스 본격 확산, 예산 지원(사업별 30~100억 원대)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기부·행안부·교육부 등 전 부처가 민생·산업 정보와 기술을 융합해 범정부적 협력과 분업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정책의 핵심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를 위한 AI 시대', 국민 체감형 AI 기본사회 전환의 분수령을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