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10년간 포스코 사망자 57명 중 50명 하청·외주·계열사 소속"
노동계 "민노총·금속노조 추천 전문가 참여 진상조사기구 구성 촉구"
[포항=뉴스핌] 남효선 기자 = 포스코 포항제철 스테인리스 4제강공장에서 발생한 유해 가스 누출 사고로 하청업체 직원 2명이 중태에 빠지는 등 포스코에서 중대재해 사고가 끊이지 않자 지역 노동계가 "철저한 수사와 경영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경북본부 포항지부와 전국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정문 앞에서 최근 발생한 '포스코 스테인리스(STS) 4제강 일산화탄소 질식 중대 재해 발생'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포스코는 이번 사고의 모든 정보를 공개하고, 민주노총·금속노조가 추천하는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된 진상 조사 기구 구성을 요구했다.
![]() |
![]() |
| 민주노총 경북본부 포항지부와 전국금속노조 포항지부가 24일 포항시 남구 포스코 포항제철소 정문 앞에서 '포스코 포항제철 스테인리스 4제강공장 일산화탄소 질식 중대 재해'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철저한 수사와 안전 의무를 위반한 경영 책임자 처벌"를 촉구하고 있다.[사진=독자제공]2025.11.24 nulcheon@newspim.com |
이들 노동계는 "사고 당시 (주)그린 소속 노동자와 구조에 나섰던 포스코 방호과 구급대원까지 쓰러진 것은 이번 사고가 개인 실수가 아니라, 현장 전체가 무방비로 노출된 구조적 사고임을 보여준다."고 지적하고, "포스코는 제철소의 노후 설비·배관 등 위험 설비 전면 진단과 구조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 방안을 마련해 즉각 공개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들 노동계는 "이번 사고는 반복되는 불법 파견과 위험의 외주화가 만든 구조적 참사"라고 주장했다.
노동계는 "지난 2016년부터 10년간 포스코에서 작업 도중 사망한 노동자의 대다수가 하청 노동자였으며, 추락·질식·중독·협착 등 대다수 피해가 하청 노동자에게 집중돼 있다"고 지적하고, "이는 포스코가 유지해 온 불법 파견, 죽음의 외주화 구조가 만들어낸 예정된 죽음"이라고 강조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5년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54건의 주요 인명 사고로 57명이 숨지고 32명이 다쳤다.
권영국 정의당 대표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54건의 주요 인명 사고로 57명이 숨지고 32명이 다쳤다"며 "사망자 가운데 7명이 포스코 소속이고, 나머지 50명(87.7%)이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찌꺼기)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 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 가스를 마셔 중태에 빠졌다.
또 당시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 가스를 마셔 부상을 당했다.
이들 중 용역 업체 직원 2명은 현재까지도 의식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nulche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