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국립대 134명 참여…강원대 2팀 최우수상 선정
대학생 시각 반영한 AI 기반 프로젝트 다수 등장
비수도권 기술 교육 격차 해소 목표…지역 인재 육성 시너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비수도권 지역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운영해 온 '카카오테크 캠퍼스'의 1년 과정이 마무리되며, 5개 대학에서 최종 발표회가 열렸다.
27일 카카오는 카카오테크 캠퍼스가 1년간의 교육 과정을 마치고 강원대·경북대·부산대·전남대·충남대 등 5개 국립대에서 최종 발표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테크 캠퍼스는 비수도권 지역의 기술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기반의 기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총 134명, 22개 팀이 교육·실습·프로젝트를 거쳐 팀 단위 결과물을 발표했다.
![]() |
| [사진=카카오] |
최우수상은 강원대 '강원대 2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필요한 학습 자료를 첨부하면 AI가 자동으로 문제집을 생성하고 학습까지 관리하는 스마트 학습 플랫폼을 개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완성도 높은 구현과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이 심사위원 전반의 호평을 이끌었다.
올해 발표된 프로젝트들은 대학생 특유의 시각이 반영된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AI 기반 면접 대비 서비스, 은둔 청년 감정 케어·취업 지원 서비스 등 청년 세대가 체감하는 문제를 기술로 풀어내는 시도가 다양하게 제시되며 프로그램의 가치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카카오는 카카오테크 캠퍼스를 비롯해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지원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4대 과학기술원과 협력해 지역의 AI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히는 등 수도권의 기술·교육·창업 자원을 지역으로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카카오 AI 사장님 클래스', 지역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테크포임팩트 캠퍼스' 등 다양한 기술 기반의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서은희 카카오 기술인재양성 리더는 "올해 카카오테크 캠퍼스 참가 학생들은 실제 사회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주도적으로 접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며 "최종 발표회를 통해 완성된 결과물들이 향후 더 발전해 청년 세대와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