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밤 연준이 발표한 11월1일 FOMC 의사록은 연준의 단기금리인상 행진 중단이 임박했음을 시사하는 문구가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이 의사록에 일부 FOMC멤버들이 과도한 긴축에 따르는 리스크의 발생을 우려했다는 내용과, 조만간 성명서의 문구를 수정해야 할 것이라는 논의가 담겨 있었다. Some members cautioned that risks of going too far with the tightening process could also eventually emerge. Nonetheless, all members agreed to indicate at the conclusion of this meeting that a continued measured pace of policy firming remained likely.이같은 문구는 미국 금융시장에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와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면서 미 국채금리는 단기물을 중심으로 하락하고 달러는 주요 통화에 대해 약세로 돌아섰으며 주가는 오름세를 나타냈다.미국의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비록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이 향후 거시지표 결과에 크게 의존하기는 하겠지만, "긴 터널을 지나 빛이 보이기 시작한 셈"이라고 입을 모았다.이런 FOMC의사록은 국내 금융시장에서 상당한 의미를 던져줄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한햇동안 채권금리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채권시장으로서는 모멘텀을 FOMC에서 찾을 가능성이 있다.내달 13일 FOMC에서 단기금리를 한차례 더 올리면서 성명서의 내용이 금리인상 중단 가능성을 시사하는 문구로 바뀌면 채권시장은 큰 모멘텀을 찾으면서 연말 랠리가 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리스크관리 모드에 젖어있는 채권시장참가자들은 채권시장의 큰 방향의 전환은 결국 FOMC의 단기금리인상 중단에서 올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11월 1일 FOMC에서 일부 멤버들의 금리인상 중단 논의가 12월 13일 FOMC에서 결실을 맺을지. 내년 1월말이 될지, 내년 3월이 될지, 금융시장의 초미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연방기금금리 선물은 의사록 발표후 여전히 12월13일 FOMC의 25bp 금리인상 가능성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으나, 1월말 회의에서 다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당초 90%에서 80%로 낮춰 반영했고 내년 3월 4.75%로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70%에서 52%로 떨어졌다. 지난 2000년 연준이 단기금리인상 사이클을 중단했을 때 미국의 10년만기 국채수이률은 단기금리와 최대 150bp까지 역전된 적이 있었다. 이번에도 이런 상황이 온다면 장단기 스프레드가 과도하게 벌어져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 채권은 연말연초 랠리가 찾아올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생겨날 수 있어 주목된다. 오늘 채권금리는 FOMC의사록 영향으로 하락출발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심리가 얼마나 살아나느냐에 따라 3년만기 국고채수익률 5.0%를 테스트하는 흐름이 될 것 같다.3년만기 국고채수익률은 5.0-5.15%, 국채선물 12월물은 107.50-108.0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지난 11월2일 아침에 쓴 '[채권전략] 미 금리 2000년 장단기역전 재판될까.. 연말연초 고점형성 가능성 관심' 기사중 일부를 다시 소개한다.
◆ 미국 2000년 단기금리 인상중단때부터 장단기금리 역전시작.. 2000년 재판될까 관심지난 1999년 6월 연준은 단기금리(연방기금금리: FFR)를 4.75%에서 0.25%포인트 올리기 시작해 2005년 5월에 6.50%까지 인상했다. 당시 미국의 10년만기 국채수익률 움직임을 보면 1998년 10월5일 4.15%에서 바닥을 찍고 상승하기 시작해 2000년 1월21일 6.78%까지 상승했다.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2000년 4월 5%대 후반까지 반락한 후 단기금리를 6.50%까지 올린 5월 단기금리 수준인 6.50%까지 다시 반등했다가 재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단기금리와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이 역전되기 시작한 것이다. 단기금리가 2001년 1월까지 9개월동안 6.50%에서 머물렀는데 2000년12월에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5.0%까지 급락했다. 단기금리와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이 1.50%포인트나 역전된 것이다. 연준이 단기금리를 세 번째 인하한 2001년3월부터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단기금리 위로 올라와 역전(invert)됐던 수익률곡선이 정상화되기 시작했다. 연준은 이후 단기금리를 계속 내려 2003년6월에는 1.0%까지 인하했고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이때 3.10%수준까지 하락하며 바닥을 찍는다. 2004년6월 연준이 단기금리 인상을 시작하자 같은달 14일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4.87%까지 상승한 후 4.0-4.87%의 박스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단기금리를 12차례나 올렸는데도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이 박스권 움직임에서 벗어나지 않아 단기금리와 10년만기 국채수익률간의 스프레드가 다시 좁혀지고 있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해 볼만한 점은 연준이 단기금리 인상행진을 멈출 때부터 단기금리와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이 역전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연준이 단기금리를 올려도 장기국채수익률이 상승하지 않고 박스권에서 맴돌고 있는 건 2000년 이런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뉴스핌 Newspim] 민병복 기자 bbmin9407@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