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내용은 전문가 리포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전일 동향 및 금일 전망
수급 불안정, 환율상승의 영향력 - 스왑시장 자극 (IRS단기↑, CRS금리↓)
IRS - 은행권 수급 불안정에 따른 CD금리 상승세 지속. CD 기간물간 스프레드 감안시 추가 상승폭 내재. 이로 IRS 단기쪽 비드 우위 장세. 장기물 눌림과 함께 IRS커브 역전 심화.
CRS - 신용경색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으로 달러 강세. 스왑포인트 (-)폭 확대에도 환율 상승에 따른 절대레벨 상의 메리트로 선물환매도 물량 증가. CRS하락과 IRS상승으로 전반적 베이시스 확대 양상. 재정거래 관련 채권 매수 유리한 환경 조성.
대외 달러유동성 공급 상황 - Libor 금리추이 주시
FRB의 기간입찰대출에 따른 유동성 공급책에도 Libor금리 상의 의미있는 변화 미미. Ted spread(=Libor-Tbill) 확대는 여전한 안전자산선호에 따른 미국채 매수 영향. 향후 유동성 동향은 Libor금리 추이에 나타날 것. Libor금리 안정화는 신용경색 완화 신호로 증시 및 회사채로의 자금이동 자극. 높은 수준의 Libor금리 지속은 안전자산선호 강화로 미국채시장으로의 자금이동 증가. 결국 중앙은행 정책공조의 유효성은 Libor금리 레벨변화로 가늠해야.
변동성 장세 - 얇은 호가, 적은 거래량
모기지 부실에 따른 금융권 상각 지속으로 신용경색 우려 여전. 이는 은행권 주택대출 심사 강화로 주택시장 회복 지연시킬 것. 경기둔화 우려와 자금경색으로 안전자산선호 증가 가능성 내재. 이로 인한 국내 달러펀딩 환경 변화 여부 주시. 환율변화에 따른 업체 매물, 유동성 관련 CRS추이, 수급에 의한 CD상승 및 IRS커브 변화, 외인 포지션 영향력 주목. 변동성 장세 지속.
예상범위 : 105.40 ~ 10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