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서울~부산간 고속철도가 구상이 시작된지 20여 년만에 사업구간의 대부분이 개통되며, 완전 개통을 눈 앞에 두고 있다.
27일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동대구~부산, 128.5㎞) 공사가 완공됨에 따라 오는 28일 개통식을 갖고 11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총 연장은 169.5km로, 이번에 개통된 구간은 동대구~부산 128.5km며, 아직 공사 중인 대전·대구도심 구간 41km는 오는 2014년 완공 예정이다.
한편 28일 열릴 개통식은 부산역을 주 행사장으로, 이번에 신설된 오송역,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울산역에서도 동시에 진행되며,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관계 인사 및 지역주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하여 경부고속철도 개통을 축하할 계획이다.
경부고속철도는 1992년 6월에 첫 삽을 뜬 후, 19년 만에 개통되며, 총사업비 20조 7282억원이 투입된 단군 이래 최대의 국책사업이다.
경부고속철도 건설 과정에서 천성산 원효터널 환경갈등(일명 ‘도농룡 소송’), 경주지역 문화재 보존문제, 침목균열 사고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국토부는 지속적인 소통 노력과 침목의 안정성 검증 등 진통을 겪었다.
아울러 국토부는 차질 없는 개통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의 시설물 사전점검과 KTX 증속시험을 거쳐 10월부터는 영업시운전을 시행, 열차운영스케줄 및 영업설비 등을 최종 점검을실시했다.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서울~부산간 운행시간은 2시간 18분으로 22분 단축되는 등 통행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오송역 등 4개 정차역 신설로 이들 지역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고속철도(경부·호남) 1일 이용객은 현재 10.6만명에서 13.5만명으로 약 27%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국토부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개통에 따라 경제적·사회적 편익도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자동차 통행시간 절감(2175억원), 자동차 운행비용 절감(1112억원), 도로교통사고 저감(529억원), 도로교통 환경피해 저감(321억원)등 이용자의 편익증가와 환경피해비용 감소로 연간 총 4137억원의 사회적 편익이 발생할 전망이다.
아울러 경주·울산·포항 지역에는 신규 관광객이 약 250만명 증가하고, 지역소재 기업의 출장비 절감 및 이에 따른 부가가치가 연간 796억원에 달하는 등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새로운 정차도시는 대외 경제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고, 접근성 향상에 따라 소비시장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개통이 전 국토 KTX 90분 시대”를 앞당기는 초석이 되고, G20 정상회의 등을 통해 국내․외 홍보됨으로써 국격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2014년까지 경부고속철도 대전․대구 도심구간(41㎞) 및 호남고속철도 오송~광주송정 구간(230.9㎞)과 수도권고속철도 수서~평택구간(61.1㎞)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