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분산된 7대 지하시설물 정보가 하나로 통합관리된다.
12일 국토해양부는 전국 82개 市의 상하수도 관로 등 7대 지하시설물의 매설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 통합작업을 완료하고 올해 말까지 도로점용·굴착 인허가 시스템 등과 함께 지자체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까지는 시설물 관리기관(지자체, 통신사업자 등)에서 개별적으로 지하시설물 정보를 관리함에 따라 공동 활용이 원활치 않은 상태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2008년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 2009년부터 2년여에 걸쳐 총 27만km에 달하는 지하시설물 정보를 통합하게 됐다. 이는 지구둘레 7배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번에 통합된 모든 지하시설물 정보는 활용시스템을 통해 시설물 관리부서에서 인터넷으로 손쉽게 조회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민원을 처리할 수 있게 돼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2012년부터 민원인은 관공서 방문없이 인터넷상으로 도로점용·굴착 인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평균 기관 방문 10회와 최대 90일이 소요되는 도로점용·굴착 인허가는 무방문과 평균 3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은 서울 아현동(1994)과 대구지하철(1995) 가스폭발사고를 계기로 도로굴착으로 인한 재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해 왔다.
한편, 국토부는 지하시설물 정보통합성과를 지자체와 공유하기 위해 오는 14일 LH 대전연수원에서 市·郡 담당공무원 250여명을 초청해 '7대 지하시설물 정보통합 중간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도로법 개정으로 지하시설물 매설공사에 대한 실측도면 제출이 의무화된 이후 처음 갖는 것으로, 지자체별 우수활용사례 발표와 지하시설물 통합정보 활용시스템 시연 등을 통해 향후 지하시설물 전산화의 발전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72% 폭락한 세즐 '텐배거' ② 지금이 바닥, 130달러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