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후강퉁] 주가난조에도 해외 '뭉칫돈' 정책주 투자로 수익

기사입력 : 2014년11월18일 15:33

최종수정 : 2014년11월19일 09:27

후강퉁 테마주 군단 종목들 주가 부진, 대조

 

[뉴스핌=강소영 기자] 후강퉁 거래 첫날인 17일 상하이종합지수가 시장의 기대와 달리 하락세를 보였지만, 후구퉁  종목 중 중국 경제개혁과 정책 관련 분야 주식들은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반면 주류 유가공분야 등 그동안 후강퉁 테마주로 관심을 모았던 중목 주가는 대체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한편 상하이증시와 홍콩증시는 17일에 이어 18일에도 주가 부진을 면치 못하며 하락장세를 보였다.  후강퉁 첫날인 전날 0.19%의 소폭하락세를 보였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도 0.71% 떨어져 2456.37포인트로 밀려났다.  

중국증권보(中國證券報)는 후강퉁 첫날인 17일 A주 홍콩 등 외국자본의 '표적'이 된 후구퉁(홍콩·외국 투자자→A주 투자) 종목 중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10개 주식을 소개했다.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종목에는 신(新)실크로드 계획(一帶一路 계획), 소비시장 진작 등 중국 정부가 경제구조 개선과 내수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정책 테마주가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부품·항만 항운·교통·운수·미디어·전기설비·식품과 부동산 개발 등 정책 수혜 업종이 대다수다.

주가가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주식은 중국의 유명 조미료 제조회사 메이화성우(매화생물,梅花生物, 600873.SH) <뉴스핌 후강퉁종목 참조>로 전날대비 10.09%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메이화성우는 대표적인 소비류 업종의 종목으로 세계 최대의 조미료 생산 기업이다.

메이화성우 주식은 후강퉁 첫날인 17일 오전 9시 30분 시장과 개장과 함께 주가가 가격 상한선(10%)까지 치솟았고,  18일에도 오후 1시 10분 현재(현지시각) 주가가 전날보다  9.98% 오르며 강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가 상승폭이 10.02%를 기록한 링윈구펀(능운고분,凌雲股份,600480.SH)은 자동차 부품과 교통운송 설비 제조사다. 최근 5거래일 동안 주가가 12.7%가 오르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증권 전문 매체는 최근 3개월 동안 링윈구펀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연구보고가 전무하고, 종목의 건전성과 전망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부족하다며 투자자의 신중한 투자를 강조했다.

주가가 다섯 번째로 많이 오른 톈진강(천진항,天津港,600717.SH)은 톈진 직할시의 항구로, 시진핑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 중인 신실크로드 경제권 구축의 대표적 수혜주로 꼽힌다.

톈진강은 중국의 신실크로드 경제권 구축의 연장선인 신(新)유라시아 대륙교의 시작점으로, 동북아시아 국가가 실크로드로 진입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특히, 중국 정부가 톈진시에 자유무역지대를 설립할 예정이어서, 톈진강의 경제적·지정학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날 주가가 7.03%오른 신화촨메이(신화전매,新華傳媒,600825.SH)는 올해 8월 중순 이후 주가가 폭등한 후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8월 18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초대형 미디어 그룹 육성 계획을 밝힌 후 미디어 산업이 산업과 자본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밖에 태양광 전기설비 제조업체인 징윈퉁(경운통,京運通,601908.SH ), 부동산 개발기업 루자주이(육가취,陸家嘴,600663.SH),화파구펀(화발고분,華發股份,600325.SH) 등의 주가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한편 17일 한국 시장에서도 150억~200억 원 수준의 자금이 후강퉁 주식에 투자됐다. 주요 증권사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투자자의 거래량이 높은 종목은 구이저우마오타이(귀주모태주,貴州茅台,600519.SH), 다친철도(대진철도,大秦鐵路,601006.SH),상하이자(상해가화연합,上海家化,600315.SH),이리구펀(내몽고이리실업그룹,伊利股份,600887.SH)  등 중국 매체에서 후강퉁 수혜주로 자주 소개가 됐던 주식이 주를 이뤘다.

이날 한국인의 거래량이 많았던 후구퉁 관심주 10여 개 중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종목은 축산기업인 신우펑(신오풍,新五豐,600975.SH)이다. 신우펑은 17일 주가가 전일보다 8.28%가 올라 후구퉁 관련주 중 6번째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신우펑은 올해 여름 돼지가격이 폭등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1월 5위안 수준이던 신우펑 주식은 현재 10.9위안 이상에 거래되고 있다.

18일 오후 1시 53분 현재(현지시각) 신우펑 주식은 주가가 전날보다 1.89% 내려가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용어: 후강퉁(滬港通)은 자본시장 개방의 일환으로 상하이와 홍콩거래소의 일부 정해진 주식을 교차 매매하는 제도로 후구퉁(滬股通과 강구퉁(港股通)을 합친 말이다. 한자 '滬'는 상하이의 약칭이고, '港'은 홍콩의 약칭, '股'는 주식 유가증권, 通은 통한다는 의미다. 후구퉁이라고 하면 외국투자자(홍콩 포함)들이 홍콩거래소를 통해 중국 본토 상하이거래소 A주에 투자하는 제도이고, 강구퉁은  중국인들이 상하이거래소를 통해 홍콩주식에 투자하는 제도이다. 돈의 흐름으로 보면 후구퉁은 자금이 홍콩(외국)에서 상하이로 '북상'하는 것이고, 강구퉁은 중국에서 홍콩으로 '남하'하는 것이다.  

후구퉁 주식은 상하이180지수와 상하이 380지수에 편입된 종목들과 A,H동시 상장 종목으로 모두 568개사다.  강구퉁 종목은 항생(恒生) 중대형 지수 종목과 A,H 동시 상장 종목을 합쳐 265개사다. 홍콩 주식은 외국인이 이미 자유롭게 매매해왔기 때문에 2014년 11월 17일 개통된 후강퉁 제도에 있어 우리 투자자들에게 주목을 끄는 것은 상하이 A주를 매매할수 있는 후구퉁 주식 투자라할수 있다. 후강퉁 출범과 함께 중국 당국은 2015년 선전거래소와 홍콩거래소 주식 교차매매를 뜻하는 '선강퉁'도 출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았다. 후강퉁과 선강퉁은 모두 장기적으로 선전 상하이 홍콩증시 대통합을 염두에 둔것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