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선강퉁테마주 '입도선매' 투자포인트와 유망종목 분석

기사입력 : 2015년01월07일 17:32

최종수정 : 2015년01월14일 10:46

저평가우량주 동시상장주에 벌써부터 매기 집중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자본시장이 2015년 새해 벽두부터 선강퉁(선전-홍콩 증시 교차거래) 시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리커창(李克強) 총리가 5일 새해 첫 지방시찰지로 중국 개혁개방 1번지이자, 과학기술혁신 도시인 선전(深圳)을 방문해 '후강퉁 시행 후 마땅히 선강퉁이 시행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선강퉁 시행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선강퉁 시행일에 대한 추측이 무성한 가운데 오는 3월 초에 열리는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ㆍ전국인민대표대회) 이후 빠르면 올 상반기안에 출범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반면 평안(平安)증권 등 상당수 전문기관들은 선강퉁이 충분한 준비를 거쳐 연말이전(올 4분기)에 개통할 것이란 관측을 제시했다. 

리 총리의 선강퉁 지지발언에 힘입어 새해 첫 거래일인 5일과 이튿날인 6일 양일간 선전성분지수는 6%가까이 급등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은 7일에도 0.67%오른 3373.75포인트로 사흘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투자괘보(投資快報) 등 중국 경제전문 매체는 선강퉁 투자와 관련해 ▲선전과 홍콩 증시에 동시상장한 17개 종목 ▲선전 증시 저평가 우량주 ▲선전 증시 바이주(고량주) 등 희소성 있는 종목에서 투자기회를 포착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반영하듯 5일 선전 증시 바이주 종목인 우량예(五糧液·오량액 000858.SZ), 양허구펀(洋河股份·양하고분 002304.SZ)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저평가 우량주인 거리전기(格力電器·격력전기 000651.SZ)와 메이디그룹(美的集團 000333.SZ) 주가가 각각 9.91%, 8.89% 폭등했다.

완커A(萬科A·만과A 00002.SH), 웨이차이파워(濰柴動力·유시동력 000338.SZ), 안강스틸(鞍鋼股份·안강고분 000898.SZ) 등 선전·홍콩 동시상장 종목도 5% 넘게 올랐다.

중국 증권일보(證券日報)는 후강퉁에 이은 선강퉁 시행에 따라 증권주가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판단, 중신증권(中信證券), 해통증권(海通證券) 등 상하이 상장 증권주 외에 국신증권(國信證券) 등 선전 상장 증권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가격비는  H주 주가(위안화로 환산)를  A주 주가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주가와 홍콩-위안화 환율은 2015년 1월 5일을 기준으로 산출됐다.

◆17개 선전·홍콩 동시 상장 종목 '주목'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 출범 이후, 상하이와 홍콩 양 시장에 동시상장한 종목이 시장의 각광을 받았 듯 선강퉁 시행 이후 선전과 홍콩 동시상장 종목이 유망할 것이란 전망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선전과 홍콩 증시 동시상장 종목에는 ▲완커A ▲유시동력 ▲안강스틸 ▲여주그룹(麗珠集團) ▲중흥통신(中興通訊) ▲금풍과기(金風科技) ▲중연중과(中聯重科) ▲비아적(비야디·比亞迪) ▲중집그룹(中集集團) ▲해신과용(海信科龍) ▲동강환보(東江環保) ▲신명지업(晨鳴紙業) ▲신화제약(新華製藥) ▲경위방기(經緯紡機) ▲동북전기(東北電氣) ▲산동묵용(山東墨龍) ▲절강세보(浙江世寶) 등 17개 종목이 있다.

특히 이들 17개 종목 중, 홍콩 H주에 비해  선전 A주 주가가 크게 저평가 된 완커A, 유시동력, 안강스틸에 주목할 것을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중국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에 따르면 지난 5일 종가기준, 완커A의 A주 주가와 H주 주가는 각각 14.91위안, 19.78홍콩달러(약 15위안)로 H주 대비 A주 가격비가 106.33%에 달했다. 유시동력과 안강스틸도 양 시장 가격비가 80%를 넘고 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은행·가전·부동산·자동차 '저평가 우량주' 주가상승 기대

중국 증권일보는 상하이·선전 300지수 중 선전 주식 116개 종목이 선강퉁 투자 대상종목이 된다면, 주가가 저평가된 상위 10개 종목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는 ▲녕파은행(寧波銀行 002142.SZ) ▲평안은행(平安銀行 000001.SZ) ▲격력전기 ▲영성발전(榮盛發展 002146.SZ) ▲완커A ▲유시동력 ▲TCL그룹(TCL集團 000100.SZ) ▲메이디그룹 ▲장안자동차(長安汽車 000625.SZ) ▲화교성A(華僑城A 000069.SZ)가 포함된다.

이들 선전증시 저평가 우량주는 대체로 은행과 가전, 부동산, 자동차 분야에 집중돼 있다.

6일 기준, 녕파은행과 평안은행의 주가수익비율(PER)은 모두 9배 남짓으로 A증시 평균 PER(18.14배)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안자동차의 경우, PER이 13.53배로 같은 선전증시 자동차 종목인 비야디 PER(209.40배)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격력전기, 메이디그룹, TCL그룹 등 가전 종목도 PER이 10배 안팎으로 낮은 편이다. 민생(民生)증권은 가전 종목은 대표적인 저평가 우량주라며 주가가 오를 여지가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

화태(華泰)증권은 정부의 부동산 통제 정책이 완화되고 업계가 조정을 받으면서 향후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며 선전 증시 부동산 종목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선전 증시 부동산 종목 가운데 완커A, 영성발전, 화교성A 등이 저평가 우량주로 추천된다.

◆희소성 있는 바이주 '주목', 증권 종목 활황 '지속'

후강퉁 출범과 함께 중국 본토 증시에만 있는 희소 종목인 귀주모태(貴州茅台·구이저우마오타이, 600519.SH)가 유망주로 주목받은 것과 마찬가지로 선강퉁 시행 이후 오량액(우량예), 양하고분(양허구펀) 등 바이주 종목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국유기업 개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오량액이 국유기업 수혜주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오량액그룹 회장 탕차오(唐橋)는 최근 "그룹전체가 대대적 개혁을 단행할 것"이라며 "국유지분을 줄여 나가는 동시에 다원화 경영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3차 5개년 규획기간(2016~2020년) 매출액 1000억 위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장 방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고 귀주모태가 하이난성에서 관광 사업을 전개하는 것처럼 오량액도 관광사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후강퉁 시행으로 작년 한 해 최대 수혜를 입은 증권사들은 2015년에도 선강퉁 개통에 따른 호재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후강퉁 시행 덕택에  2014년 한 해 A증시 증권 종목은 157.88%나 폭등했다.

증권일보는 A증시 21개 증권주 중 광발증권(廣發證券 000776.SZ), 장강증권(長江證券 000783.SZ), 국원증권(國元證券 000728.SZ) 등 PER가 상대적으로 낮은 증권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이들 종목의 PER는 A증시 증권 종목 평균 수준인 54.38배(2015년 1월 6일 기준) 보다 낮다.

전문가들은 선강퉁 시행에 따라 증권사의 영업실적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 2015년에도 증권주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선전거래소 증권 종목에는 ▲국신증권(國信證券) ▲광발증권 ▲장강증권 ▲국원증권 ▲동북증권(東北證券) ▲산서증권(山西證券) ▲국해증권(國海證券) ▲서부증권(西部證券)이 있다.

이 중에서 국신증권은 2014년 12월 29일 선전거래소에 상장한 신주로,  상장일부터 7일까지 주가상승률이 93%를 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고기 콕 집은 트럼프...축산농 반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다음 달 1일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를 앞둔 상황에서 한미 간 막판 협상에 돌입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제한 철폐를 강하게 요구하며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 측의 압박으로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허용 등 농축산물 비관세장벽 카드를 협상테이블에 올리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다만 농민단체의 반발과 국민 신뢰가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2의 광우병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 美,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압박…韓, 농산물 카드 검토 28일 정부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개방했다는 점을 연일 언급하며 한국에도 같은 수준의 개방을 요구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며 "이제 우리는 호주에 (미국산) 소고기를 많이 팔 것"이라고 게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7.25 mj72284@newspim.com 이어 "우리의 훌륭한 소고기를 거부하는 다른 나라들도 (개방) 요구를 받은 상태"라며 "이 좋은 흐름을 이어가자. 지금은 미국의 황금기"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고기 개방을 거부하는 국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세협상을 앞둔 한국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 또한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난 20년간 비과학적인 무역 장벽 때문에 우리 소고기가 호주 소비자들에게 판매되지 못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 농축산업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소고기를 생산하고 있다"며 "USTR은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타파하고 미국 국민이 주요 시장에 배제되지 않도록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과 계속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협상을 진행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연일 30개월 이상 소고기 개방을 압박하면서, 한국도 소고기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협상 품목 아래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업분야 보호를 우선으로 두고,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개방 등 비관세 장벽을 해소할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한 대형마트의 미국산 쇠고기 진열대 모습 <뉴스핌 DB> 그러나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일정 사유로 전날 취소되면서 미국이 한국의 협상 태도에 불편을 느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미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오는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한미 양국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해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변형(LMO) 감자·사과 검역 완화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 농민단체 "관세협상에 농업 희생양 삼지 말아야"…대정부 투쟁 돌입 정부로서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우선 한국은 현재도 미국산 소고기의 최대 수입국이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22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액(38억4700만달러) 대비 57.4%를 차지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지난 2004년 1억300만달러에서 2012년 5억2200만달러, 2016년 10억3500만달러로 20억달러를 넘기다 2022년에는 26억24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17.5%다. 이재명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우리나라는 이른바 '광우병 파동' 이후 30개월령 미만 미국산 소고기만 수입하고 있다. 지난 2008년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됐고, 우리 정부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까지 수입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전국적으로 열렸다. 당시 이명박 정부 지지율은 취임 2개월 만에 20%대로 폭락했고, 결국 정부는 미국과 소고기 협상을 일부 재협상했다. 다시 말해 현재 국내 소비자들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섭취에 대해 안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기반에 깔려 있다. 또 우리나라 연간 쌀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은 40만8700톤으로, 미국 물량이 이중 13만2304톤(32%)을 차지한다. 쌀 개방은 WTO 규약에 묶여 있기 때문에 한미 양자 간 협상체계가 불가능하다. 다만 미국이 소고기 등 농산물 개방을 미루는 국가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는 점을 연일 강조하면서 국익 측면에서 조선·철강·반도체 등 산업을 보호하고 농산물을 희생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나온다. 농민단체는 정부의 기류에 대거 반발하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민의길 등 농축산업 단체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대정부 투쟁에 나선다. 이들 단체는 "미국산 농축산물은 이미 한미 FTA로 전면개방을 한 마당에 관세 추가 인하 및 비관세장벽까지 철폐된다면 농민 생존권 말살과 함께 국내 농업생산 기반 붕괴는 시간문제일 것"이라며 강하게 규탄한다. 이어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수입연령 제한과 사과에 대한 식물검역은 국내법과 WTO 등 국제협정 등에 따른 정당한 조치이며, 국민건강과 직결된 것으로 절대 포기해선 안 되는 문제"라며 "농축산물을 협상대상에서 제외해 식량주권과 국민건강권을 반드시 사수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단체 관계자는 "한미 관세협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요구가 묵살될 경우 대대적인 추가 농민항쟁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쌀값정상화법 공포 촉구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3.04.03 leehs@newspim.com plum@newspim.com 2025-07-28 12:49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