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미 국무부 심의중…케리, 홍수 피해 주민 지원"
[뉴스핌=이영태 기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행정부가 임기 종료 전날 북한에 100만달러(약 11억6250만원)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5일(현지시각) 국무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현재 이 지출에 대한 심의를 진행중이다.
![]() |
|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홍수로 파괴된 가옥들.<사진=유엔 제공> |
국무부 관리는 "지난해 9월 시작된 홍수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을 돕기 위해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이 지난 19일 유니세프에 기금을 제공했다"며 "미국이 유엔아동기금과 유니세프를 통해 100만달러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했다"고 확인했다.
앞서 한국 외교 소식통도 "오바마 행정부가 지난해 북한 수해에 대한 긴급 구호 측면에서 인도적 지원을 검토하다가 임기 종료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국제기구를 통해 지원했다"면서 "아동 영양 분야의 지원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2011년 민간 구호단체 사마리탄스 퍼스를 통해 황해도와 강원도 지역 수해 복구에 90만달러를 지원한 이후 6년 만이다.
북한 당국은 지난 8월 말과 9월 초 사이에 발생한 홍수로 138명이 사망하고 400여 명이 실종됐으며 이재민도 6만9000여 명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당시 보고서에서 수해 지역 내 주민 14만명이 생존을 위한 즉각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60만명은 어떤 형태로든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국무부는 지난해 10월31일 국제기구들이 대북 지원 자금 모금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데 대한 논평 요청을 받고 원할 경우 대북 수해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미국 민간단체들에게 분명히 전달했다고 언급했다.
익명을 요구한 재무부의 한 관리도 당시 VOA에 재무부 산하 자산통제국이 대북 제재에 의해 금지된 거래를 예외적으로 허용한다며, 특정 문건(general License No. 5)은 가뭄과 홍수 등이 발생했을 때 일부 비정부기구가 북한의 인도적 필요를 충족하는 지원을 할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민이나 영주권자들은 북한의 가뭄과 수해 복구 노력이나 다른 인도주의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비정부기구에 현금을 기부할 수 있다는 말이다.
미 국무부는 그동안 인도주의 지원은 정치나 안보 문제와는 별개라는 원칙을 강조해 왔다. 아울러 해당 국가가 얼마나 절실히 지원이 필요한지 살펴보고, 지원이 필요한 다른 나라들의 사정과 비교하며, 구호물자가 원래 의도대로 주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는 지원 원칙을 제시해왔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