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핌=글 장주연 기자·사진 김학선 기자] “저 알고 보면 어둡고 다크해요. 하하.”
외로워도 슬퍼도 안 울고, 참고 참고 또 참는 대표적인 ‘캔디’ 배우 이청아(33)가 달라졌다. 밝고 맑은 눈동자에는 어둠이 짙게 깔렸고, 반듯하던 행동은 어딘가 의심쩍어졌다. 기회주의적인 건 물론, 때때로 간교하기까지 하다.
이청아가 지난 1일 신작 ‘해빙’을 선보였다. ‘해빙’은 얼었던 한강이 녹고 시체가 떠오르자 수면 아래 있었던 비밀과 맞닥뜨린 한 남자를 둘러싼 심리 스릴러. 극중 이청아는 비밀의 키를 쥔 토박이 간호조무사 미연을 열연했다.
“이런 역할을 해보고 싶었는데 기회가 오지 않았어요. ‘늑대의 유혹’(2004) 이후에 세상없이 착한 역할을 맡기 시작하면서 6년 정도 그런 카테고리 속 인물만 연기했어요. 변화를 주고자 푼수 역할, 불쌍한 역할도 해봤는데 ‘밝음’으로 한 데 묶이더라고요. 근데 ‘해빙’은 제게 검은색을 풀어놓은 듯한 회색이 아스라이 진 첫 작품이었죠.”
![]() |
이청아가 극중 연기한 미연은 속을 알 수 없는 인물이다. 승훈에게는 한없이 친절한데 또 환자에게 대하는 태도를 보면 무심하기 짝이 없다. 이청아는 이런 미연을 두고 ‘카멜레온’이라고 표현했다.
“미연은 자기의 이해관계에 따라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요. 그래서 잘 보이고 싶은 사람을 대할 때와 속된 말로 ‘아웃 오브 안중’인 사람을 구분 지으려고 했죠. 또 최대한 현장에서도 눈치도 안 보고, 실제 낯을 가리는 부분을 살리고자 했어요. 지금은 가까워졌지만, 촬영 당시에는 (조)진웅 선배에게도 친밀함을 표현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죠. 서로 거리를 뒀어요.”
이청아가 미연을 위해 신경을 기울인 건 이뿐만이 아니다. 그는 미연의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매 장면 디테일을 살렸다. 실제 같은 직종에 몸담은 지인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은 물론, 행동 하나하나 연구했다.
“조금씩 쌓으면 결국 어떤 딱 하나로 연결된다고 생각했어요. 예를 들면 문자를 끝까지 보면서 할머니를 모시고 가거나 밥을 먹다가 립스틱을 바르는 장면 등이 그렇죠. 또 명품백을 즐겨 사면서 밥값을 딱 맞춰주거나 병원 밖에서는 핫팬츠에 시스루 옷을 입었어요. 머리도 허술하게 묶었고요. 그런 부분이 쌓여서 미연이란 인물이 적립되는 듯했어요.”
![]() |
노력은 그를 배신하지 않았다. 영화 전체를 놓고 보면 많은 분량이 아님에도 불구, 이청아는 ‘해빙’에서 남다른 존재감을 과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실제 영화가 베일을 벗은 후 많은 관객이 이청아의 연기 변신에 집중했다.
“사실 걱정도 많았어요. 근데 언론시사회 끝나고 지나가는데 어떤 기자님이 지나가면서 저에게 ‘잘 봤어요, 잘하더라’고 하시는 거예요. 그제야 안도가 되면서 긴장이 풀렸죠. ‘그래, 혹시 백 명이 못했다고 해도 진심으로 잘했다고 한 한 명이 있으면 됐어’ 싶었어요. 정말 처음 미연에게 면이 서는 느낌이었어요. 너무 좋았죠.”
그때를 회상하는 이청아의 눈에 어느새 눈물이 고였다. 미연과 ‘해빙’, 나아가 연기에 대한 열정까지 고스란히 느껴졌다.
“사실 제가 싫증을 잘 내요. 근데 연기는 올해가 16년째더라고요. 마흔을 넘기면 인생의 반 이상을 연기와 함께한 거죠. 유일하게 재밌어하는 게 이거예요(웃음). 그동안 단역도 하고 주연도 하고 그러면서 차근차근 경력을 쌓아오긴 해지만, 늘 부족하다는 생각을 해요. 앞으로도 질책하면서 조금씩 더 성장해 가는 모습, 다양한 모습 보여드릴게요.”
[뉴스핌 Newspim] 글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사진 김학선 기자 (yooks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