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노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과 아프리카 코끼리, 2015, Watercolor on Paper. <사진=성남큐브미술관> |
[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어린 자녀들이 관람하면 좋을 체험기획전이 개막됐다. 이 전시는 어린이 대상 교육체험전으로 기획됐지만, 어른이 관람해도 충분히 공감할 만한 전시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란 인식아래 모든 걸 오로지 인간 위주로 생각했던 것에서 잠시 벗어나,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주소를 살펴보는 특별전이다.
성남문화재단(이사장 이재명)은 여름방학을 맞아 어린이 교육체험전시로 ‘MISSING’전을 마련했다. 28일 개막돼 오는 10월 1일까지 성남아트센터 큐브미술관에서 열리는 이 전시는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갖가지 이유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상황을 예술작품으로 구현한 작품들이 모였다.
이번 기획전에는 인간과 자연생태계의 관계, 멸종위기의 동물 등을 작업을 통해 꾸준히 성찰해온 장노아, 이창원, 성실화랑(김남성) 등 3명의 작가가 초대됐다.
지난 2014년부터 지구촌의 초고층 빌딩과 멸종동물을 대비시켜 그려온 장노아 작가의 회화는 하늘로 솟은 마천루와 숲을 빼앗긴 동물이 세밀한 터치로 묘사됐다. 동물 옆에는 그 곁을 말없이 지키는 흰 옷 입은 소녀가 각기 다른 모양으로 등장해 눈길을 끈다.
조금이라도 더 높게 보이기 위해 뾰족탑까지 세운 초고층 건물 아래에는 멸종동물의 상징처럼 되어버린 날지못하는 새 도도를 비롯해, 한국의 마지막 표범, 산악고릴라,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등이 자리잡고 있다. 동물들 옆에는 작은 소녀가 멸종동물을 응시하고 있거나, 보듬고 있다. 우리 세대가 후대에 물려줘야 할 지구와 자연이 과연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를 돌아보게 하는 그림이다.
마치 빛바랜 엽서처럼 차분한 톤으로 초현대식 빌딩과 동물을 오버랩시킨 작가는 현대인들이 자연의 본래 모습을 기억하고,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성찰해보길 작업을 통해 권하고 있다.
이창원, Parallel World, 2017. 거울, 디지털프린트, 램프 등. <사진=성남큐브미술관> |
이창원 작가는 빛과 어둠, 거울과 동물들의 형상(실루엣)이 어우러진 설치미술을 시도했다. 보이는 것과 보여주는 것 사이에서 신비로운 트롱프뢰유(trompe-l’œil 눈속임 미술)가 너른 미술관 공간에 넓게 펼쳐졌다.
‘평행 세계(Parallel World)’라 명명된 이창원의 이번 설치작품은 현대 인간사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여러 동물의 이미지를 빛과 반사를 활용해 드러내고 있다. 어두컴컴한 공간에 반사된 동물들의 모습은 몽환적이고, 공상적인 무대로 연출됐다.
바위 위에 동물을 새긴 듯한 이창원의 ‘Release'시리즈는 마치 고대 알타미라 동굴벽화를 보는 듯하다. 작은 종이와 좁은 프레임 안에 인쇄된 동물들의 이미지는 거울과 빛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비로소 자유롭게 비상한다.
성실화랑, 랫서 PANDA, 2017, 디지털 프린팅. <사진=성남큐브미술관> |
‘그래픽 디자인을 통해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비롯된 성실화랑(작가명 김남성)의 ‘멸종위기 동물 그래픽 아카이브’는 전시관 입구에 설치돼 관람객을 맞고 있다.
끈질긴 조사와 연구를 통해 디자인된 50점의 멸종동물 이미지는 무덤덤하나 의외로 친근하게 다가온다. 이 초롱초롱한 동물들이 조만간 지구상에서 사라질지 모른다는 사실에 아쉬움이 절로 든다. 작가는 각 동물의 정확한 명칭과 서식지, 멸종 등급까지 꼼꼼하게 곁들여 생물학적, 교육적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박천남 성남문화재단 전시기획부 부장은 “장노아, 이창원, 성실화랑, 이 세 젊은 작가들의 작업은 오늘날 우리가 잊고 살았던 ‘사라져가는 것들의 소중함과 가치’를 차분히 되새겨보게 한다”고 밝혔다. 미술관측은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멸종위기 동물의 서식지도와 전시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도서를 구비해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자연과 동물,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겨보는 시간을 갖도록 했다.
전시기간 중 매주 토, 일요일에는 어린이 체험프로그램인 ‘워크북과 함께 하는 전시관람+나만의 동물비누 만들기’가 1일 2회 진행된다. 또 작가와의 대화도 예정돼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영란 편집위원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