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김정은이 참관한 중국 베이징 중관촌 과학원 어떤 곳이길래

기사입력 : 2018년03월29일 16:35

최종수정 : 2018년03월29일 16:44

중국 18차 당대회 이후 혁신 성과 전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하늘의 눈(天眼)'
중국 주도 '제3극 환경’ 프로젝트'

[뉴스핌=홍성현 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25일~28일 중국을 방문한 가운데, 김 위원장이 방중 기간 참관한 베이징 중관촌의 ‘중국 과학원(中國科學院) 혁신 성과 전시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국 과학원 혁신 성과 전시회는 지난 2012년 18차 당대회 이후 주요 과학기술 연구 성과를 전시해 중국의 최첨단 과학기술 굴기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과학원이 있는 중관촌은 중국판 실리콘밸리와 같은 곳으로 김 위원장의 부친인 김정일 위원장도 지난 2011년 중국 방문때 중관촌 일대를 둘러보며 중국의 첨단 IT 기술 발전에 각별한 관심을 보인 바 있다.       

중국 과학원을 참관 중인 김정은 위원장 부부 <사진=신화사>

지난 28일, 중국 신화통신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시진핑 주석의 초청을 받아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고, 방중 기간 ‘중국 과학원 혁신 성과 전시회(中國科學院創新成果展)’를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전시회를 둘러 본 김 위원장은 중국의 과학기술 발전과 혁신 성과에 찬사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중국 과학원 문헌정보센터 ‘중국 과학원 혁신 성과전’ 현장에는 18차 당대회 이후 중국의 주요 과학기술 성과를 모아 전시하고 있다.

현지 매체 보도와 공개된 사진을 종합해 볼 때, 김 위원장은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하늘의 눈(天眼)', 중국이 주도하는 ‘제3극 환경(第三極環境) 프로젝트’ 등과 관련한 전시물을 둘러본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중국에서 ‘하늘의 눈(天眼)’이라 불리는 전파망원경 패스트(FAST)는 지름 500m 세계 최대 규모, 축구장 30개를 합친 면적을 자랑한다.

'하늘의 눈' 실물은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貴州)성 첸난(黔南)주 핑탕(平塘)현에 위치해있다. 지난 2011년부터 5년 간에 걸쳐 2016년 9월 완공했으며, 총 4450개의 패널과 2000억 원이 넘는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완공 당시 중국은 향후 '하늘의 눈' 패스트를 우주의 탄생과 진화 그리고 우주의 유기 물질이 내보내는 독특한 전자파를 감지해, 우주간 통신 신호나 외계 생명체 존재 여부 탐색 등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구이저우 핑탕현에 위치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패스트(FAST) <사진=바이두>

‘제3극 환경(Third Pole Environment, TPE)’은 중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프로젝트로, 칭짱고원(青藏高原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 일대를 가리키는 ‘제3극(第三極)’지역의 지질 및 기후 환경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말한다.

칭짱고원 일대는 최근 50년 간 기온 상승 폭이 전세계 평균치의 2배에 달했다. 칭짱고원 융기(땅이 주변보다 높아지는 현상)에 따라 서풍과 계절풍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북부 서풍, 남부 계절풍 등 주변 지역 기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칭짱고원 생태 환경 보호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여겨진다.

중국은 이를 바탕으로 ‘범 제3극 환경 변화와 녹색 실크로드 건설(泛第三極環境變化與綠色絲綢之路建設)’ 이란 과학 프로젝트를 내놓고, 자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신 실크로드) 추진에 과학적 근거로 제시하며 환경∙외교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김정은 위원장이 방중 시 중국 자연과학계 최고학술기관인 중관촌의 과학원을 돌아본 것은 과학기술 발전을 중시하는 북한의 정책 기조를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앞서 김 위원장은 올해 초 북한의 과학연구기관인 국가과학원을 시찰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강조한 바 있다.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북한 최고 지도부의 이같은 관심도로 볼때 향후 북한 경제 개발이 본격화할 경우 중관촌을 첨단 기술 발전의 모델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밝히고 있다.    

‘제3극 환경’전시 현장 <사진=중국과학원 홈페이지>
제3극 환경 프로젝트는 중국 주도 일대일로 전략 추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사진=중국과학원 홈페이지>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