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미래의 먹거리' 중국 블록체인 초고속 성장 궤도

기사입력 : 2018년07월13일 15:25

최종수정 : 2018년07월13일 15:25

인민은행, 세계 최초 국가차원 블록체인 플랫폼 출시
BAT 등 주요 기업 가세, 기업 수 매년 두배씩 증가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중국의 블록체인 산업이 기술개발및 산업 분야 응용에 걸쳐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매년 블록체인에 투입되는 금액이 천문학적인 규모로 커지고 있고, 정부 당국은 물론 민간 기업들까지 자체 플랫폼을 출시하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9월 중국이 가상화폐 거래소를 폐쇄할 때만 해도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의 블록체인 산업이 함께 위축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었다. 그러나 채 1년이 지나지 않은 지금 중국 블록체인 굴기는 ▲온라인 보안 ▲금융상품 거래 ▲식품안전 통제 ▲지적재산권 관리 등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 나가며 기업가와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 시진핑 ‘블록체인은 미래를 선도할 기술’

지난 5월 시진핑 주석은 사회과학원 연례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인공지능, 양자정보 등은 미래를 선도할 획기적인 기술이다”고 언급하며 블록체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공신부(工信部) 역시 ‘2018년 중국 블록체인 산업백서’를 통해 중국 블록체인 굴기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공산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는 정부가 블록체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공신부 관계자는 “블록체인 관련 기초표준, 업무응용표준 정보안전표준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블록체인기술 발전은 중국이 전세계 IT 경쟁력을 선점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3월 인민은행은 블록체인 등록 오픈 플랫폼(Blockchain Registry Open Platform, BROP)을 출시했다. 국가 차원에서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한 것으로는 세계 최초다. 인민은행은 “앞으로 BROP를 통해 ‘디지털 신분 증명’ 등 정보 검증 업무환경 인프라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블록체인 관련 특허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중국 지적재산권 전문 매체 IPRdaily가 발표한 ‘2017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특허 순위’에 따르면, 상위 100개 기업 중 49개가 중국 기업이었다. 알리바바가 43개의 특허를 등록해 1위, 인민은행 디지털화폐연구소는 33개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100위권에 이름을 올린 미국 기업 수는 33개로 중국보다 적었다.

◆ BAT등 블록체인 프로젝트 확대, 매년 기업 수 2배씩 늘어나

정부당국의 정책 지원과 함께 중국 블록체인 산업 규모도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중국의 블록체인 기업 수는 모두 434개로, 지난 2013년부터 매년 기업 수가 2배가량 늘어났다. 금융데이터기관 퉁화순(同花順)에 따르면, 6월 13일 기준 블록체인 관련 상장사 수만 80개에 달한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선전(深圳)을 기반으로 출범하면서, 선전에 전체 절반 가량의 블록체인 기업이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주요 블록체인 응용 분야를 크게 ▲스마트계약 ▲가상화폐 ▲보안 ▲기록관리의4개로 분류했다. 각 분야별로 디지털 저작권, 결제, 송금, 상품거래, 지적재산권 관리 등 다양한 업종들이 결합하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새로 탄생하는 추세다. 특히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인터넷 IT기업들이 뛰어들면서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마화텅(馬化騰) 텐센트 회장은 올해 3월 양회(兩會, 중국 최대 정치행사)에서 “블록체인은 분명 좋은 기술이며 앞으로 인터넷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그 외에도 주요 CEO들은 블록체인 산업 발전 계획을 언급했다.

바이두는 올해 4월 사진 및 이미지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했다. 또한 산하 인재양성기관 ‘윈즈 아카데미(雲智學院)를 통해 향후 3년간 10만명의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AI)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5월 블록체인 기술 ‘푸드 트러스트 프레임워크(Food Trust Framework)’를 공개했다. 식품 인증부터 유통까지 모든 기록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믿을 수 있는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텐센트 역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블록체인과 기업 재무관리를 결합해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캐릭터 육성게임 ‘이치라이줘야오(一起來捉妖)’를 출시하고 앞으로 관련 게임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텐센트와 훠비왕(火幣網) 등 20여개 블록체인 기업들은 21일 블록체인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블록체인 보안 연맹’을 결성했다. 블록체인 금융 사기를 방지해 관련 블록체인 기반 금융상품 거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블록체인 투자·수익도 폭발적, 묻지마 투자는 유의해야

중국의 블록체인 관련 투자 역시 2013년부터 연평균 100% 이상 증가했고 특히 지난해부터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중국 데이터 플랫폼 핀투즈쿠(品途智庫)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블록체인 투자 건수는 전년비 723% 증가한 107건, 투자 규모는 1104% 늘어난 33억1200만위안(5600억원)을 기록했다.

관련 수익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중국 산업정보망은 올해 중국의 블록체인 수익이 지난해보다 179.3% 늘어난 8100만위안을 기록하고, 2019년엔 2억4500만위안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TOP50기업 분포에서는 금융서비스 관련 기업이 34개로 가장 많았고, 기업서비스와 문화오락이 각각 10개로 뒤를 이었다.

중국 구인구직 전문업체 보스즈핀(BOSS直聘)은 2017년 하반기부터 블록체인 인력 수요가 확대됐으며 ▲핀테크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업 서비스 관련 분야의 기술자 수요가 전체 80%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블록체인 업계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일각에선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블록체인 응용 분야가 넓다 보니 스타트업들이 무조건 블록체인을 거론하면서 뉴비즈 사업인 것처럼 포장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왕하오(王昊) 블록체인 전문가는 “특히 가상화폐 분야에서 플랫폼 기술력 없이 ‘블록체인’만을 강조하는 기업들이 많다”며 “가상화폐는 ‘허구’의 영역과 ‘현실’의 영역이 결합하는 산업인 만큼 데이터 처리, 기록, 관리, 상업화 등 분야에서 더 엄격한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핑안증권(平安證券) 역시 “블록체인 투자는 업체 기술력 외에도 경영 리스크, 정책 리스크, 여론 리스크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유망 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묻지마 투자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