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인문강국, 자연대국' 중국이 자랑하는 세계문화유산은? (3)

기사입력 : 2018년07월24일 09:07

최종수정 : 2018년07월31일 14:01

동방의 베니스 '리장구청'
서태후의 궁전 '이허위안'
휘주문화의 결정체 '시디-훙춘'

[서울=뉴스핌] 고은나래 기자 = 중국은 이탈리아, 스페인과 함께 세계 3대 문화 유산 대국으로 불립니다. 중국이 등재한 세계유산(세계문화유산, 자연유산 등 포함)만 무려 52개, 세계무형문화유산은 39개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여기에는 중국 고대 왕실의 위용을 느낄 수 있는 고궁(자금성), 세계 8대 불가사의중 하나라고 하는 거대 건축물 만리장성 등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문화 유산이 대거 포함돼 있습니다. 3000년 역사를 지닌 중국의 고유하고 다채로운 세계 유산을 살펴봅니다.  

 

◆  리장구청(丽江古城, 여강고성)

리장구청(丽江古城, 여강고성) <사진 = 바이두>

중국 윈난(雲南)성 리장(丽江) 나시(納西)족 자치현에 위치한 리장구청(丽江古城)은 랑중(阆中)구청, 핑야오(平遥)구청, 후이저우(徽州)구청과 함께 중국 4대 고성으로 꼽힙니다.

송원(宋元)대에 건립이 시작되어 명청(明清) 시기에 융성한 리장구청은 나시족 건축기술의 정수라 평할 만 합니다.

명대(明代)의 저명한 여행가인 서하객(徐霞客)도 전유일기(滇游日记)에 리장구청 내 목씨(木氏) 토사(土司)의 궁실(宫室)의 아름다움이 마치 왕궁과 같다고 기록한 바 있습니다.  

2016년 6월 방영된 <신서유기2>의 촬영지로 우리에게 보다 친숙해진 곳이기도 합니다.

 

◆  베이징황쟈위안린-이허위안(北京皇园家林-颐和园, 북경황가원림-이화원)

이허위안(颐和园, 이화원) <사진 = 바이두>

베이징 시내와는 약 10km가량 떨어져 있는 곳에 자리한 이허위안(颐和园)은 중국에서 가장 크고 보존이 잘 되어 있는 황실 정원으로 서태후(西太后)의 여름별장으로도 유명합니다.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 때 지어진 이허위안은 제2차 아편전쟁을 겪으며 훼손되었고, 이후 서태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복구하는 데 성공합니다.

이허위안의 가장 큰 볼거리로 꼽히는 인공호수 쿤밍(昆明)호는 이허위안 전체 면적 90만 평의 4분의 3을 차지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직접 이 큰 호수를 만들었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그 당시 서태후가 가진 권력의 크기를 충분히 가늠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 베이징황쟈지탄-티엔탄(北京皇家祭坛-天坛,북경황가제단-천단)

티엔탄(天坛, 천단) <사진 = 바이두>

티엔탄(天坛)은 면적 283만 평방미터에 이르는 광대한 공원으로 기우제와 풍년제 등 제천의식을 지내기 위해 1420년 명(明)나라 영락제(永樂帝)가 건설한 제단입니다. 무려 자금성의 4배에 달하는 면적을 자랑합니다.

 

◆ 다쭈스커(大足石刻, 대족석각)

다쭈스커(大足石刻, 대족석각) <사진 = 바이두>

충칭(重慶) 북서쪽 다쭈(大足)현에 위치한 다쭈스커(大足石刻)는 마애석굴로는 단연 첫손가락에 꼽힙니다. 초당(初唐) 때 지어지기 시작해 오대(五代)를 거쳐 양송(兩宋)대에 이르러 완성되면서 불(佛), 도(道), 유(儒) 세 종교의 조각들 특징이 잘 어우러져 있다는 평을 받습니다.

“북에는 돈황, 남에는 대족(北敦煌, 南大足)”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다쭈스커는 ‘동방 예술의 보배’로 불립니다.

 

◆ 완난구춘뤄-시디, 훙춘(皖南古村落-西递、宏村, 환남고촌락-서체, 굉촌)

시디, 훙춘(西递、宏村) <사진 = 바이두>

시디(西递)와 훙춘(宏村)을 대표로 한 고촌락(古村落)은 안후이(安徽)성 지역문화를 배경으로 한 역사적 전통 촌락이며 강렬한 휘주문화(徽州文化)를 그 특색으로 합니다.

영화 ‘와호장룡(臥虎藏龍)’과 ‘국두(菊豆)’의 로케이션 장소로 선택됐을 만큼 독특한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며, 특히 시디는 ‘중국의 매력적인 10대 도시’로 선정될 만큼 특유의 아름다움을 뽐냅니다.

 

◆ 밍칭황쟈링친(明淸皇家陵寢, 명청황가능침)

밍칭황쟈링친(明淸皇家陵寢, 명청황가능침) <사진 = 바이두>

명청(明淸) 황실 무덤은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과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 후베이(湖北)성 중샹(鐘祥)시, 허베이(河北)성 쭌화(遵化)시 이(易)현,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시 신빈(新賓)만족자치현 등지에 산재한 명나라와 청나라의 황제 및 공신들의 무덤을 가리킵니다.

중국의 옛 통치자들은 사후세계를 믿고 황실의 권위를 내세우고자 능묘 건설에 막대한 재원과 인력을 투입하였습니다. 황릉의 전반적 설계 방식은 명 왕조 때 정립되었으며, 청 왕조의 능묘는 한족의 전통 양식에 만주 문명의 양식이 결합한 모습을 보입니다.

주변의 자연환경과 빼어난 조화를 이루는 능묘는 500년 이상 중국을 지배한 두 왕조의 건축 발전상을 여실히 보여주는 탁월한 증거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nalai1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사진
명동성당 프란치스코 교황 애도 물결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한 가운데, 국내 명동대성당에 공식 조문을 위한 분향소가 마련됐다. 조문을 하러 온 천주교 신자들은 애통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며 명복을 빌었다.  22일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가 마련됐으며 이날 오후 3시부터 일반 조문이 진행됐다. 여기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조문을 다녀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이날 공식 분향소에는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구요비 주교, 이경상 주교를 비롯한 주교단 조문 이후 일반인들의 조문이 시작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공식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제266대 故프란치스코 교황은 천주교회와 전 세계 신자들에게 깊은 영적 가르침과 믿음의 유산을 남기셨다"면서 "늘 겸손하고 소탈하신 모습으로 가난한 이들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신 故프란치스코 교황께 깊은 감사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천주교 신자인 유인촌 장관도 오후 3시 20분께 조문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등 서울대교구 주교단이 22일 서울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5.04.22 photo@newspim.com 적지 않은 비가 내리는 평일 낮 시간임에도 공식 분향소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조문이 조용히 이어졌다. 번잡하거나 사람이 북적이지는 않았지만, 차분한 표정으로 분향소를 향하는 조문객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검은 복장으로 공식 분향소를 찾은 박 씨(70대, 여)는 "(교황의) 선종 소식을 듣고 마음이 아팠다. 좋은 곳으로 가셔서 이제는 평안하시길 빈다"고 애도했다. 신앙을 함께하는 이들과 동행한 그는 "예수님을 먼저 뵙고 조문하려고 한다"면서 예배당으로 들어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제266대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가운데, 22일 서울 중구 명동성당 영성센터 건물 외벽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있다. 2025.04.22 yym58@newspim.com 또 다른 천주교 신자 김 씨(60대, 여)는 "이렇게 빨리 가실 지 몰랐다. 제겐 비보로 다가왔다. 불과 며칠 전에 공식석상에서 말씀하셨던 모습을 기억한다"면서 "그분 말씀을 하니 마음이 또 뭉클하다. 항상 가난한 이들을 돌보셨던 훌륭한 분이다. 부활절 다음날 돌아가신 게 분명 좋은 곳으로 가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대교구 측에 따르면 이날부터 언제까지 조문을 받을 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향후 교황청에서 장례 일정을 정하면 그에 따라 조문 절차를 운영할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 2025-04-22 16:4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