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공화국' 오명 벗으려면 과도한 경쟁사회 탈피해야
근본적 이유는 우울증…정신병자 취급하는 시선이 문제
SNS 발달로 자살 정보 범람…10대 자살률 꾸준히 증가
해결책은 관심…"힘들다" 말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 중요
[편집자] 자살예방은 세계 각국이 안고 있는 공통과제다. 우리나라 역시 대응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한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1만명을 넘긴 지 오래다. 40분마다 1명, 하루 36명이 생명의 끈을 놓는 한국은 경재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최고의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생명 경시 풍조가 만연해 위기감이 고조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을 자살.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그 심각성을 짚어보고, 변화하는 시대상에 맞춘 예방법을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김경민 기자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들 중 1위다.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무려 13년째 벗지 못하고 있다. 자살을 막을 국가 시스템이나 사회적 인식이 좀처럼 변화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뼈아프게 다가온다.
◆’대한민국=자살공화국’ 오명 왜?
정신과 치료를 곱지 않는 시선으로 보는 사회분위기는 스트레스를 숨기고 끙끙 앓게 만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높은 이유를 경쟁 중심 사회에서 찾는다. 어려서부터 입시경쟁에 내몰리고, 사회에 나가서도 승진 스트레스를 받으니 우울증이 많다는 이야기다.
김원 인제대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OECD 자살률 1위인 까닭은 경쟁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이라며 "정신적 압박은 심한 데 비해 사회적 안전망, 정신과적 서비스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자살에 대한 정보에 쉽게 노출되는 세태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정택수 한국자살예방센터장은 “초등학생만 돼도 자살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다. 뭐만 안 되면 ‘저도 죽을래요’란 말을 한다”며 “애나 어른이나 생명을 경시한다. 유명한 정치인도 쉽게 목숨을 끊는다. 아이들이 다 보고 있다. 베르테르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계했다.
◆ 자살 생각하는 근본적인 이유 ‘우울증’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 대부분 우울증을 앓는다는 사실은 통계에서 잘 나타난다. 희망이 없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삶의 의지가 흔들리는 사람들은 쉽게 자살을 떠올린다.
김원 교수는 “자살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우울증이 많다. 이제 좋아질 것이 없고, 살 희망이 없으니 탈출구가 죽는 것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어쩔 수 없는 해결책으로 자살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인 심리”라고 설명했다.
가족의 해체가 우울증을 부른다는 분석도 있다. 게이트키퍼의 역할을 해줄 주변인들이 없기 때문이다. 1인 가구가 점차 확산되는 한국사회로서는 심각하게 받아들일 문제로 꼽힌다.
정택수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대가족 중심에서 핵가족화되다 요즘엔 1인 가구로 분산됐다”며 “4050대 고독사의 증가도 1인 가구 증가와 관련이 있다. 청소년도 가족이 붕괴되니 학교폭력이나 자살에 더 잘 노출된다. 중심축은 가족인데, 가족이 응집력을 잃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 꽃 피우기도 전에…늘어나는 10대 자살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트렌드가 되면서 아이들도 자살이나 죽음을 쉽게 접한다. 여기에 과도한 학업 문제가 겹쳐 10대 자살이 점점 늘고 있다.
정택수 센터장은 “한국사회는 성적에 따른 서열이 확실하다. 못하는 아이는 부모도 손가락한다”며 “10대 자살률이 높은 이유로 가정 불화가 많았는데, 최근엔 공부에 대한 문제나 부모님 압박이 심각하다. 사회 자체가 공부 못하면 별 볼 일 없는 존재로 바라본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성적, 취업으로 우울증이 생기고 자살 충동으로 이어진다. 우울증 걸리니까 대인관계도 문제가 생긴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관계 형성이 안 되면 자살을 떠올린다”고 덧붙였다.
육성필 한국심리학회 자살예방위기관리위원장은 “학업 스트레스도 원인이지만 힘들 때 털어놓을 곳이 없는 게 원인 중 하나”라며 “적절한 치유를 받을 곳이 있더라도 사회가 부정적으로 본다. 도움을 받으면 실패자란 부정적 평가를 받을까봐 아이들이 숨기고 말을 안 한다”고 분석했다.
1등만 대접 받는 사회 분위기와 일명 ’계급수저론’ 역시 아이들에게 악영향을 준다는 게 전문가 시각이다. 김원 교수는 “청소년들은 성공하지 못하면 나락으로 떨어지는 줄 안다. 공부 못하고 친구들 관계도 별로 안 좋은 학생들은 ‘벌써 왕따인데 무슨 희망이 있겠냐’며 포기한다. 아이들이 금수저∙은수저∙흙수저를 논하는 세태도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힘들다” 말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이 절실
자살예방을 위해 전문가들이 꼽는 처방은 인식전환과 관심이다. 고통 받는 사람 스스로 “힘들다”며 털어놓고, 주변 사람들도 “괜찮다”며 손 잡아주는 분위기가 절실하다는 이야기다.
정택수 센터장은 “결국 관심이다. '많이 힘들구나' '내가 도와주고 싶다' '넌 이거 잘하잖아'라며 말을 걸어줘야 한다"며 "내적 강도를 높이고 주변의 힘든 사람들 손을 잡아 주는 관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없으면 없는 만큼 행복을 느끼고, 부족한 만큼 자기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육성필 위원장도 “뭣보다 인식·태도 변화가 시급하다. 스트레스 받아도 환자나 위험한 사람 취급하니 꽁꽁 숨기려고만 든다.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있는데 소수만 있다고 몰아가니까 치료받기도 불편한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