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업종분석] 권토중래 2019년 중국 게임 시장, 메이저 게임사 전략 분석

기사입력 : 2019년05월16일 16:28

최종수정 : 2019년05월16일 16:28

2019년 게임 시장 회복 기대, 중국 주요 게임사 영향력 확대 전망
중국기업 자체개발·해외 인기작품 복제통한 '중국산' 게임 출시 활발

[편집자] 이 기사는 5월 15일 오후 5시2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타이베이=뉴스핌] 강소영 기자=2018년은 중국 온라인 산업계의 '전환점'이 되는 한 해였다. 중국 감독 당국이 지난해 초부터 게임 영업허가증인 '판호' 발급을 중단하면서 게임 산업 성장세가 둔화됐다. 그러나 지난해 말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한 판호 발급이 재개되고, 올해 3월 1년 만에 외국 기업에 대한 판호 발급도 다시 시작되면서 2019년에 중국 게임 시장이 활기를 회복하고 있다. 

지난해 게임 산업계 전반의 위축 속에서 중국 메이저 게임 배급사와 개발사들도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그러나 정부 정책과 시장 변화 속에서 중국 주요 게임사들은 전략 재정비에 나서며 다가올 새로운 게임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움직임이 뚜렷했다. 2018년 중국 게임 시장 현황과 중국 메이저 게임 회사의 전략을 분석해 소개한다. 

◆ 2018년 판호 발급 중단 게임 시장 위축, 올해 판호 재개 시장 회복 기대 

2018년 중국 게임 시장 실질 영업수입은 2144억 4000만 위안(약 37조 원)으로 전년 대비 5.3%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판호 발급 중단 등으로 성장률이 지난해 보다 크게 위축됐다. 지난해 중국 온라인 게임 이용자는 6억 260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7.35% 증가했다. 최근 10년래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정부의 게임산업 환경 정비와 정책 지도 아래 일부 우량 중국 게임 개발사들은 지난해 역성장을 실현했다. 특히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시장에서도 중국 게임사들의 게임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 2018년 중국 게임사 자체개발 온라인 게임의 해외 매출은 95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8%가 증가했다.

전 세계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절대적이다. 2018년 게임 매출 증가율이 둔화했지만, 전 세계 전체 게임 시장에서 중국의 비중은 23.6%에 달한다. 

◆ 텐센트(騰訊): '짝퉁 배그' '화평정영(和平精英)' 매출 순익 급증 기대 

2018년 텐센트의 영업수입은 2126억 9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787억1900만 위안으로 10%가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58%가 급감했다.

게임 부문 실적도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모바일 게임 매출은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그러나 1분기 이후 분기별 매출은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1분기 287억 위안에서 4분기 241억 위안으로 분기별 매출 증가율이 26%에서 -1%로 급락했다.

그러나 2019년 텐센트 게임 사업 부문의 전망은 밝은 편이다. 텐센트가 자체 개발한 배틀로열 게임 '화평정영(和平精英)'이 판호 순조롭게 획득하고, 출시 하자마자 시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화평정영'은 한국의 플레이언즈노운즈 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를 모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혹에도 중국에서 '화평정영'은 폭발적이다. 텐센트는 한국의 '배그' 모바일판을 무료로 서비스해왔지만, '배그'가 중국에서 판호 획득에 실패하자 배그 서비스를 중단했다. 그리고 '배그'를 거의 복제한 것으로 보이는 '화평정영'을 출시했다.

중국 시장조사 기관의 예측에 따르면, '화평정영'의 출시 초기 월간 충전금액이 적어도 15억 위안에 달하고, 평균 월간 충전금액은 8억 위안을 유지할 전망이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1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화평정영'을 통한 연간 순이익도 2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 넷이즈(網易): 게임 사업 부문 다변화, 블리자드 게임 중국 운영권 2023년까지 연장 

넷이즈(중국명: 왕이)는 최근 몇 년 게임 사업 부문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에 치중했던 사업 구조를 조정해 전자상거래·광고·기타 혁신형 서비스 사업 전략을 강화하는 추세다.

지난해 넷이즈의 전체 매출에서 온라인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59.9%로 집계됐다. 2016년 73.3%, 2017년 67% 보다 확연히 줄어든 수치다.

게임 사업 부분의 총매출은 줄어들고 있지만, 게임 서비스 업무 자체는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8년 넷이즈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순 매출액은 401억9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8% 증가했다. 게임 부문 매출 증가의 '1등 공신'은 넷이즈의 인기 게임 '황야행동(荒野行動)', '초유향(楚留香)'과 '제오인격(第五人格)'이다.

모바일 시장 전문 조가 기업 센서타워(SensorTower)에 따르면 '황야행동(영문명: Knives Out)'의 경우 2018년 3월 이후 중국 모바일 게임 해외시장 매출 순위에서 줄곧 상위 5위안에 들었다. 특히 8~12월까지는 1위를 지켰다.

특히 넷이즈가 블리자드 게임의 중국 대륙 게임 운영권을 2023년까지 연장하는데 성공한 점도 게임 사업 부문의 전망을 밝히고 있다.

◆ 37게임스(三七互娛) : 모바일 게임 개발에 전념

37게임즈(중국명: 싼치우휘)는 2018년 76억 33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 증가율은 23.33%에 달했다. 그러나 순이익 총액은 전년 대비 36.38%가 감소한 12억 1900만 위안에 그쳤다.

그러나 37게임스의 모바일 게임 매출은 우수한 실적을 실현했다. 지난해 매출이 55억82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70%가까이 증가했다. 모바일 게임 배급과 연구로 인한 매출이 2018년 이 회사 매출 증가의 주요 동력원이 됐다.

지난해 37게임스의 모바일 게임 연구개발 투자 비용은 5억4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가 늘어났다.

◆ 퍼펙트월드(完美世界) : 게임 기반 영화 드라마 사업 강화

퍼펙트월드(중국명: 완메이스제)는 자체 개발 인기 게임 주선(誅仙), 완미세계(完美世界), 신조협려(神雕俠侶) 등을 기반으로 한 TV드라마, 웹드라마와 영화 제작 등 사업 다변화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2018년 이후 열화여가(熱火如歌), 주화(走火), 귀거래(歸去來) 등 여러 편의 드라마와 영화를 출시했다. 드라마와 '열화여가'와 동시에 출시된 모바일 게임 '열화여가'도 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시장에서 호평을 얻었다.

2018년 퍼펙트월드의 온라인 게임 매출은 54억 21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06%가 감소했다. 그러나 드라마 영화 부문의 매출은 14.62%가 증가한 26억 1200만 위안을 기록했다.

◆ 자이언트 네트워크(巨人網絡): 게임 연구개발 투자 증가, 게임 IP 영향력 확대 

자이언트 네트워크(중국명: 쥐런왕뤄)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시장 환경과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개발 게임 연구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8년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정부의 게임 정책 조정, 판호 발급 중단의 영향으로 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증도(征途)','선협세계(仙俠世界)'와 '구구대작전(球球大作戰)' 등 자체개발 게임을 기반으로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막강한 실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세 가지 게임 모바일 버전의 누적 사용자 수만 4억 명에 달한다.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