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카디즈 진입' 중‧러 무관, ‘영공 침략하려 했나’ 질문에 묵묵부답

기사입력 : 2019년07월23일 17:11

최종수정 : 2019년07월24일 17:18

국방부, 23일 중‧러 무관 초치해 엄중 항의
‘의도 있었나’·‘美 볼턴 방한 때문인가’ 질문에 묵묵부답
‘北 개입’ 질문에 “영역 개념=실제 영공 아냐” 애매한 답변
러 무관, ‘유사사태 또 재발하나’ 질문에 “한 번도 韓 위협 안 해” 강조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23일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 폭격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카디즈‧KADIZ)에 수차례 진입‧이탈‧재진입하고 심지어 러시아 조기경보통제기는 독도 인근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국방부가 양국 무관을 초치해 침략 의도 등에 대해 물었지만 이들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소식통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발생한 카디즈 진입 건으로 합동참모본부에 초치된 중국 무관은 우리 정부 관계자로부터 ‘의도적이었나? 영공을 침략하려고 한 것인가?(Was it intentional? To invade the airspace?)’라는 질문을 받았으나 대답을 하지 않았다.

중국 공군과 해군 항공대가 보유하고 있는 쌍발 전략-전술 폭격기 H-6. 이 폭격기는 23일 오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했다가 우리 군의 대응조치 이후 이탈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중국 무관은 이날 우리 정부 관계자가 한 다수의 질문에 답을 하지 않거나 애매모호한 대답을 내놨다.

중국 무관은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한국을 방문한 것과 이번 행위가 관련이 있느냐(Did it have anything to do with John Bolton’s visit to South Korea?)’는 질문에 대답을 하지 않았다.

이어 ‘오늘 행위에 북한이 개입이 돼 있나(Did North Korea involve in your actions today?)’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한 채 “내가 한 가지는 대답하겠다. 영역에 대한 개념이 실제 영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 have to mention one thing. Air recognition area is not airspace okay?)“라고 주장했다.

이에 우리 정부 관계자가 ‘그게 무슨 말이냐(What do you mean by that?)’고 묻자 “차이가 (분명히) 있다(That’s the difference)”고 강조했다.

소련 때 개발된 러시아 장거리 전략폭격기 투폴레프 Tu-95. 이 폭격기는 23일 오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했다가 우리 군의 대응조치 이후 이탈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또 러시아 무관은 ‘(카디즈 진입 당시 우리 군이 통신을 보낸 것에 대해) 왜 러시아 (폭격기의) 조종사가 응답을 하지 않았느냐(Why didn’t the Russian pilot respond?)’는 질문에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당신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당국에 뭐라고 했느냐(So can we hear about your explanation. What did you tell the authorities?)’는 질문에 “우리는 국방부에 모두 전달했다. 그들에게 물어보라(We told about all ministry of defense representatives. Please ask them okay?)”고 하며 즉답을 피했다.

하지만 ‘또 러시아와 중국이 협조해서 이런 일을 벌일 것이냐(So is Russia going to do this again? With China? Coordination with China?)’는 우리 정부 관계자의 질문에는 “러시아는 단 한 번도 한국을 위협한 적이 없다. 이것은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I should say Russia has never ever threat(threatened) the Republic of Korea. It’s very important)”라고 강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러시아가 지금 위협하고 있다는 조짐이 있지 않느냐(But there are signs that they’re threatening isn’t it?)’는 지적에는 또 다시 답을 하지 않았다.

아울러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한국인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겠느냐(So what kind of message would you send to the South Korean people?)’는 질문에도 무응답으로 일관했다.

suyoung071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