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수입품 의존도 높기 때문
양국 기업 비용증가 및 매출감소, 투자이익 감소 예상
단 거시경제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은 적을듯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한일 무역갈등이 지속되면서 일본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이 불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18일 '승자 없는 한일 무역분쟁 장기화시 한국이 다소 불리할 듯'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일본이 화학물질 수출규제에 이어 한국을 수출심사 우대국(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양국간 통상마찰과 보복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숀 로치(Shaun Roache)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무역문쟁에서 한일 양국의 오래된 적대감이 드러나고 있다"며 "일본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이 다소 불리한 입장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간 무역규모 자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며 "가장 큰 영향은 양국간 무역관계의 상호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숀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양국 기업들은 서로의 제품과 고객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수출규제 영향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겠지만 이런 무역전환은 양국 기업 모두에 비용 증가, 매출 감소, 투자이익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G20 정상 환영 및 기념촬영 식순 중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다만, 최근 상대 국가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에 따른 거시경제지표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일간 무역거래의 상당 부분은 양국 공급망에 투입되는 자본재와 중간재다.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기계장치, 고순도 화학물질, 부품 및 소재는 한국 총 산업생산량의 약 2-4%를 차지하고 있다.
S&P는 한국과 일본 무역갈등이 장기화 될 경우 국내 기업이 신규 공급처를 확보해 일본 수입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본이 한국에 수출하는 품목의 상당수는 글로벌 수출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P는 "일본이 자본재와 중간재 수출을 규제할 경우 국내 기업들은 신규 공급처를 찾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함을 의미한다"며 "신규 공급처를 빨리 찾지 못한 기업의 경우 감산을 해야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박준홍 S&P 이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화학물질의 상당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수출규제가 장기화 될 경우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