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업종분석] 불황에 라면 시장 활황? 중국 라면산업 기지개

기사입력 : 2019년10월08일 16:19

최종수정 : 2019년10월08일 16:19

내수 시장 부진과 달리 중국 내 라면 판매량 호조세 보여
세계 최대 라면 시장 중국, 제품 고급화 다양화로 성장 재개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의 라면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경기 하강에 따른 이른바 ‘불황형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 소비시장이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재편되면서 라면 업계는 제품 다양화 및 고급화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 제2의 도약을 꾀해나가고 있다.

세계라면협회(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최대 라면 시장이다. 2018년 기준 중국 라면 판매량은 약 403억개로, 전세계 판매분(1036억개)의 38.9%를 차지한다.

다만 2015년부터 중국의 라면 판매량은 감소세를 보인 후, 특히 2016년 라면 판매량(385억 2000만개)은 최근 5년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17년부터 점차 회복세를 보인 라면 판매량과 매출은 지난 2018년 각각 402억 5000만개, 909억위안으로 확대됐다. 올해 라면 판매는 2014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일각에서는 라면 소비 증가세가 자동차 판매 부진과 극명하게 대비되면서 라면 판매량이 중국의 경기 침체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지표’라고 보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 은행의 타오둥(陶冬) 애널리스트는 “ 중국의 연간 라면 판매량이 400억개로 회복될 것”이라며 “최근 제품 고급화가 이뤄졌지만 라면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저가형 제품인 자차이(榨菜) 판매 증가세와 유사한 현상이다”며 라면 소비 증가세를 ‘불황형 소비’로 진단했다. 

다만 라면 판매 증가의 요인이 단순히 저가형 제품 구매확대에 힘입은 것이 아니라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최근 뚜렷한 실적 회복세를 실현한 라면업계의 일등공신은 제품 고급화와 다양한 신제품 출시라는 것.

중국식품과학기술학회(中國食品科學技術學會)의 멍수허(孟素荷) 이사장은 “라면 제품 다양화 자체가 소비 고급화 추세의 일환이다”며 “상위 22개 중국 면류 제조사 판매 규모가 지난 2018년 515억 위안을 기록, 동기대비 3.3%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 기관은 향후 3~5년간 저가형 라면 제조사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한편, 일부 대형사 위주로 시장 재편이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캉스푸 라면 [사진=바이두]

중화권 라면 최대 업체로 꼽히는 캉스푸(康师傅)는 지난 2016년 시장 위축에 맞서 과거 히트 제품을 리뉴얼한 상품 및 사골탕과 같은 고급 탕류 제품을 선보이며 높아진 고객 입맛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2017년부터 캉스푸의 실적은 개선되기 시작했다. 특히 고급 탕류 제품은 식품 업계의 웰빙 트렌드와 맞물리며 판매 증가로 이어졌다.

그 중 용기 라면 및 고급 봉지라면 판매는 지난 2018년 각각 5.5%, 10.6% 늘어났다. 특히 고급 봉지라면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달했다. 반면 중저가형 라면 판매는 줄어들었다.

퉁이의 탕다런 라면[사진=바이두]

또다른 라면 업체 퉁이치예(統一企業)는 진한 육수맛을 내는 프리미엄 제품인 탕다런(湯達人)과 과 함께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해 소비자 공략에 성공했다.

탕다런과 같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호조에 퉁이의 라면 매출도 늘어나는 동시에 수익성도 개선됐다. 지난 2018년도 라면 매출은 전년비 5.7% 증가한 84억 2500만위안을 기록했다. 또 올 상반기 매출 및 순이익은 각각 2.2%,39.6% 늘어난 114억7000만위안, 9억9700만위안에 달했다.

1인당 라면 소비량이 여전히 낮은 점도 향후 시장 확대를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시장조사기관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產業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29개로, 한국(74.6개) 베트남(54.3개)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인의 소비 고급화 추세에 따라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판매가 늘어나게 될 경우 라면 산업은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시장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라면 업계의 경쟁 업종이자 라면 소비 위축을 불러온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 음식 배달 업종의 성장세는 한풀 꺽인 모양새다. 10~20위안대의 배달 메뉴가 점차 사라지는 한편,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폭하면서 그동안 고속 질주를 보여온 성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이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가덕도신공항 시공사 교체되나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장기간 표류한 부산 가덕도신공항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 교체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시공사가 전면적으로 바뀔지 주목된다. 2029년 개항이 사실상 물 건너가면서 국토부가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공사측은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 증액을 포함한 게약조건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공사 입찰 당시에도 우선협상대상자가 수의계약으로 결정된 만큼 국토부가 재입찰을 진행해도 대체 시공사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결국 양측이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상당기간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가덕도신공항 공사 개요 및 국토교통부, 현대건설 컨소시엄 간 부지조성공사 기본설계 조건 입장 차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현대건설 "국토부 공기·공사비 못 맞춰… 안전 1순위" 8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기본설계안 변경 사유를 담은 시공단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타당성이 입증되지 않을 경우 수의계약 취소까지 거론되는 상황이지만, 어느 쪽을 선택하든 개항 연기는 막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번 주 중으로 정부에 공사기간을 기존 7년에서 9년으로 연장해야 하는 사유를 담은 설명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지난주 국토부에 기본설계도서를 제출하면서 공사기간을 108개월로 제시했다. 국토부는 즉각 입찰공고에 제시된 공기(84개월)보다 2년이 더 필요한 구체적 사유와 설명자료 제출 등을 요구했다. 가덕도신공항 공사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666만9000㎡에 활주로와 방파제 등을 포함한 공항 시설 전반을 건설하는 10조5300억원의 규모 사업이다. 당초 2035년 6월 개항으로 추진됐지만 '2030 부산 세계 박람회'(엑스포) 유치 국면을 맞아 5년 이상 당겨졌다. 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후에도 정부의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 방침은 그대로 유지됐다. 현대건설은 최대 깊이 60m에 달하는 대심도의 연약 지반을 매립해야 하는 공항 부지 특성상 지반 개량을 위해 해상 구조물인 케이슨을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케이슨은 육상에서 만든 뒤 해상으로 옮겨 바다에 가라앉힌 다음 안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약 7개월의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사업지 주변은 태풍이 발생하면 파도가 12m에 이르는 먼바다에 해당하는 지역이기에 높은 파도에 대비한 안전 시공법도 적용해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에도 "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는 12월~2월이나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7월에는 해상작업일수가 한 달에 10일 미만"이라며 "해상운반, 거치, 케이슨 속채움 등의 해상작업이 어렵다"고 적혀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6개월간 250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사업성을 재검토한 결과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설계하려면 108개월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냈다"며 "현재로서는 기본설계를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공사비 역시 정부가 내놓은 10조5000억원보다 최소 1조원을 증액해야 한다는 뜻도 내비쳤다. ◆ 형평성 안 맞아 시공단 바꾼단 국토부… 업계 반응은 "글쎄" 부산시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적정 공사 기간과 현장 여건, 시공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건설 계획을 제시해달라"며 "지역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신속히 착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국토부도 강경한 입장으로 맞섰다. 컨소시엄이 기본설계 기간을 준수하지 않으면 재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즉시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하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구성해 차회 입찰방식 등을 신속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 또한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대건설이 국토부가 내건 조건에 맞춰 기본설계를 보완해온다면 그에 맞춘 조치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플랜B'를 가동할 수밖에 없다"며 재입찰 검토에 힘을 실었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부터 공기 준수를 주요 요건으로 내세운 만큼 현 컨소시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입찰 의사를 보였다가 포기한 타 건설사와의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분위기다. 업계에선 국토부가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실격 처분(DQ)을 내리고 재입찰을 진행하는 것보다 공기 협의를 하는 방향이 사업 속도를 높이는 데에 더욱 유리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항 건설 자체가 고난도인데다 해상 매립까지 수반하는 공사임에도 주어진 기간이 과도하게 짧다 보니 선뜻 손을 드는 회사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서다. 최초 입찰 때도 이 같은 이유로 네 차례나 입찰이 유찰된 바 있다. 당시 공동도급 제한 조건이 과도하게 까다롭다는 비판이 일었다. 공사 규모가 10조원 이상인데 10대 건설업체 중 2개 업체를 초과해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없어 공사를 마치기 위한 위험 부담과 비용이 크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국토부는 3개사까지 참여 가능한 것으로 조건을 수정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기가 당초 계획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데다 해안가 공사라 지반 침하 문제도 있어 난도가 매우 높다"며 "금액을 떠나 이런 공사는 위험 부담이 커서 참여하려는 회사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또한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박영강 동의대 명예교수는 "파도가 많은 외해에 속하는 가덕도 앞바다에 플로팅(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과 같은 획기적인 공법을 적용하는 데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훈구 KDI 재정투자평가실장은 "해외 유사공항 사례에서 보듯이 해상공항은 사업기간이 6~9년 정도 소요된다"며 "통상 매립공사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연약지반 처리, 호안공사(매립지 테두리를 만드는 공사) 등에도 다수의 인력이 장기간 사용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5-08 06:00
사진
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실패...검은 연기 [뉴욕 런던=뉴스핌]김근철· 장일현 특파원=새 교황 선출을 위해 7일(현지시간) 시작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 회의)에서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9시쯤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성당 굴뚝 위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는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 133명의 첫 투표에서 선거인단 3분의 2 이상인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었다는 의미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예배당의 지붕 굴뚝에서 7일(현지시간) 밤 교황 선출 실패를 알리는 검은 색 연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 지지로 새 교황이 선출되면 교황청은 투표 용지를 태워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 흰 연기를 피우고, 아니면 검은 연기로 투표 결과를 알린다. 첫날 회의에 새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 계속 머물면서 8일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 하루 최대 네 차례 투표해 제267대 교황을 뽑게 된다. 지난 2013년에는 다섯 번째 투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가톨릭 규정에 따라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시작한다. 콘클라베 방식의 교황 선출은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정립했다. 정치적 외압이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추기경들을 한곳에 몰아넣고 차기 교황을 뽑을 때까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스티나 성당은 19세기 후반부터 콘클라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콘클라베에서는 모든 추기경이 후보인 동시에 유권자이다.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각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적어 내며,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벽화가 있는 제단 앞에서 비밀 투표를 반복한다. kckim100@newspim.com 2025-05-08 04: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