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산업 전기·전자

속보

더보기

삼성전자, LTE 되는 노트북 '갤럭시북S' 내달 2일 출시

기사입력 : 2019년11월20일 16:01

최종수정 : 2019년11월20일 16:01

'모바일+PC 장점 결합'...스마트폰처럼 유심 꽂아 인터넷
13인치 크기에 1cm 두께, 무게 1kg 채 안돼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노트북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더이상 와이파이를 찾아다니거나 유선인터넷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됐다. 스마트폰처럼 LTE를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을 출시, 인터넷을 별도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했다. 

2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다음달 2일 '갤럭시북S'를 출시한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삼성전자는 내달 2일 LTE가 지원되는 노트북 갤럭시북S를 출시할 예정이다. [사진=삼성전자] 2019.11.20 sjh@newspim.com

갤럭시북S의 가장 큰 특징은 LTE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처럼 유심을 꽂는 슬롯이 따로 있어 전용 유심을 사서 꽂으면 된다.

LTE를 이용하려면 이통사에서 별도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 사용 가능한 요금제로는 태블릿 전용 요금제나 스마트폰 데이터를 공유해 쓰는 요금제 등이 있다.

갤럭시북S는 휴대성에서도 강점을 갖는다. 화면 크기는 13인치(1920x1080)로 여느 노트북과 비슷하지만 두께가 1.18cm로 얇고 무게는 0.96kg로 가볍다. 기존 판매되고 있는 삼성전자 노트북 중에서는 가장 얇고 가볍다.

퀄컴의 노트북용 칩셋인 7나노 PC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cx'를 탑재했으며 저장공간 256·256GB, 램8GB(LPDDC4X)다. 마이크로SD 슬롯을 통해 1TB까지 지원된다.

사용시간은 비디오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23시간(42Wh)이다. 3.5mm 이어폰 잭과 USB Type-C 포트 2개를 탑재했으며 블루투스 5.0와 지문인식 기능을 지원한다. LTE가 지원되는 만큼 별도의 인터넷 연결 포트는 없다. 

아울러 갤럭시북S는 스마트폰과의 연결성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8월 미국에서 개최한 갤럭시노트10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북S를 공개하며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과 웨어러블 등 다양한 분야 기기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클라우드 등을 통해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윈도10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없이 PC에서 갤럭시노트10의 메시지나 알림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가격은 미국 기준 999달러다. 이는 앞서 삼성전자가 지난 8월 미국에서 개최한 갤럭시노트10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됐다. 국내에서는 부가가치세(VAT)가 포함돼야 하는 만큼 이보다는 높게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북S는 모바일과 PC의 장점을 결합한 제품"이라며 "인터넷 연결성, 고성능 프로세서, 최신 플랫폼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j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