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뉴스핌] 이주현 기자 = 충북지역 시민단체와 정당, 교육단체 등으로 결성된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이 12일 충북도와 청주시, 충북도교육청을 향해 기후 위기에 맞는 정책 등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이날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후위기로 인류 공동의 집인 지구가 불타고, 잠기고, 식량 생산이 위협받고, 신종 전염병 창궐과 수많은 기후재난이 예고되고 있다"며 "기후위기는 진행 중이며 임계점을 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
[뉴스핌=이주현 기자] 충북지역 시민단체와 정당, 교육단체 등으로 결성된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이 12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도와 청주시, 충북도교육청을 향해 기후 위기에 맞는 정책 등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사진=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 |
이어 "기후 임계점을 막을 수 있는 탄소 예산이 8년도 안 남았다"며 "8년 후엔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기후환경에 들어선다는 뜻이며 인류의 공멸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기후위기는 끊임없는 개발과 성장의 질주로 내뿜어진 온실가스가 재앙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며 "온실가스 배출의가장 책임이 있는 국가와 기업, 개발주의, 사회구조적 시스템 모두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고되는 기후파국보다 기후위기에 무감각한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교육기관, 언론사들의 태도가 더 두렵다고도 했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기후 위기로부터 시민들의 안전과 생명을, 기후재난으로부터 보호를 최우선으로 해야 할 지방기관들이 아무런 인식도, 대책도, 정책도, 예산도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충북도와 청주시를 향해서는 기후비상사태를 선포할 것과 함께 탄소 배출제로 계획과 기후 정의에 입각한 정책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조직, 예산, 조례를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또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각종 개발정책과 에너지, 폐기물 정책 등을 전면 재검토하라고도 했다.
충북도교육청을 향해서는 기후 위기를 인정하고, 기후 위기에 대한 교육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에는 ▲기본소득충북네트워크 ▲노동당 충북도당 ▲두꺼비친구들 ▲생태교육연구소 터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 ▲전교조 충북지부 ▲정의당 충북도당 ▲증평자원순환시민센터 ▲청주YWCA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충북교육발전소 ▲충북기본소득당 ▲사회변혁노동자당 충북도당 ▲충북녹색당 ▲청주YWCA아이쿱생협 ▲청주아이쿱생협 ▲평등교육실현을위한충북학부모회 ▲하늘지기꿈터 ▲한살림 청주 등이 참여했다.
cosmosjh8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