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핫 스톡] '투자자 입맛에도 딱', 조미료 대장주 해천미업

기사입력 : 2020년05월04일 17:20

최종수정 : 2020년05월07일 15:06

급등락 장세 속 경기방어주로서 자리매김
'국민 간장' 브랜드,실적 두 자릿수 성장세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최대 조미료 업체인 해천미업(海天味業,하이텐웨이예)이 최근 코로나 여파에 따른 '롤러코스터 증시'에서도 선방하고 있다. 해천미업(603288.SH)은 필수 소비재로 꼽히는 조미료 분야 대장주로서 급등락 장세 속에서 경기 방어주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모양새다.

올 들어 해천미업의 주가는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14.34%(4월 30일 기준 122.93위안)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주가가 최저점을 기록한 3월 19일(92.18위안)과 대비해선 33.35% 올랐다.

현재 해천미업은 간장, 굴 소스, 식초, 치킨스톡(雞精) 등 8가지 제품군에 걸쳐  200여 종류에 달하는 각종 식품 첨가제를 제조하는 중국 굴지의 종합 조미료 기업으로 꼽힌다.

◆ 압도적인 브랜드 파워, 1등 조미료 위상 굳건

해천미업의 역사는 청나라 시기 구축된 광둥성 포산(佛山)의 간장 제조장에서 비롯됐다. 1995년 국영 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전환된 해천미업은 현재 조미료 업계 부동의 '1등 브랜드'로 발돋움했다.

해천미업은 1990년대 이후 간장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한 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해천미업의 간장 시장 점유율은 33% 이상을 기록, 1/3 가량의 시장 파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 유통 채널, 상품 면에서 해천미업은 압도적인 경쟁 우위를 갖고 있다. 해천미업은 또 다른 굴 소스 업체로 널리 알려진 리진지(李錦記, 이금기)와 함께 조미료 시장에선 '전국구 브랜드'로 통한다. 2020년 중국 브랜드 파워지수(China Brand Power Index,C-BPI) 결과에 따르면, 해천미업은 굴 소스, 간장, 식초, 양념장 제품 분야에서 1위 브랜드로 선정됐다.

[사진=바이두]

제조 라인도 해외 업체와 비교해서 뒤처지지 않는다. 현재 이 업체는 60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대규모 생산 라인을 보유한 동시에 직원 1인당 간장 연간 생산량이 300톤을 상회하면서 일본 등 선진 간장업체의 제조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탄탄한 유통망도 갖추고 있다. 해천미업은 중국 전역에 걸쳐 5000여개에 달하는 중간 유통망을 확보한 상태고, 온라인 판매 확대에도 시동을 걸었다. 이중 지난 2019년 온라인 유통 매출은 동기 대비 42.51%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력 상품인 굴 소스, 양념장 등 조미료 제품은 여전히 성장기에 놓여있다는 평가다. 특히 굴 소스 매출은 지난 2019년 24%에 달하는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시난(西南)증권은 '현재 조미료 업계에선 영세업체가 난립한 상황인 만큼 향후 상위 업체에 점유율이 쏠리는 시장 집중도가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평했다.

더불어 성숙기 단계에 진입한 간장 제품은 지속적인 실적 성장을 위해 고급화 전략으로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해천미업은 2013년부터 '라오쯔하오(老字號) 시리즈' 등 프리미엄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조미료 업계 새 역사 쓴 종목, 유망 소비재주로 꼽혀

해천미업은 증시에서 조미료 업체의 새로운 역사를 쓴 업체로 통한다. 시가 총액은 이미 3000억 위안(4월 30일시총 3320억위안·약 57조원)을 넘어섰다. 핵심 소비재주인 귀주모태(貴州茅臺)와 우량예(五粮液) 등 주요 고량주 종목을 뒤쫓고 있는 모양새다.

매년 실적도 두 자릿 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9년 매출은 동기 대비 16.22% 늘어난 197억 9700만 위안에 달했다. 2014년 매출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어났다. 수익성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2019년도 순이익은 53억 5300만위안을 기록, 전년 대비 22.6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순이익의 약 2배 규모에 근접했다.

올해 1분기 실적은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천미업의 1분기 매출은 동기 대비 7.17% 늘어난 58억 8400만 위안(약 1조 179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7% 증가한 16억 1300만 위안(약 2790억원)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1분기 실적은 예상을 넘어서는 호실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태평양(太平洋) 증권은 코로나 사태에 따른 외식업계 매출 감소분을 조리 수요 급증에 따른 일반 가정 내 조미료 소비로 메울 수 있었다고 진단했다.

올해 실적도 순항이 예상된다. 해천미업측은 2020년도 매출 및 순이익이 동기 대비 각각 15%,18%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견고한 실적 추이로 주가 전망도 낙관적이다. 20여개 증권사가 해천미업에 대해 '매수 등급'을 부여했다. 이중 태평양(太平洋)증권은 올 하반기 이후 뚜렷한 판매 회복세와 함께 점유율도 확대될 것으로 보면서 목표 주가를 142.8위안으로 제시했다. 

다만 3년간 이어진 주가 고공행진으로 일각에선 '거품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간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입맛과 선호도는 쉽사리 변하지 않는다'라며 '시장 점유율 확대가 쉽지 않고, 해천미업이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경우 악재로 작용 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