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차입금 3000억 늘리고 회사채 발행
"레버리지 8배 이상은 신용등급 하향 요인"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매각을 앞둔 아주캐피탈이 최근 잇따라 자금 조달에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 재무 지표가 신용등급 하향 검토 범위안에 포함됐음에도 차입한도를 늘리고 있다. 특히 자본 적정성 평가 지표인 레버리지 배율이 과도해, 우려하는 분석도 나온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아주캐피탈은 지난 7일 금융기관차입을 통해 3000억원 규모로 단기차입금을 늘리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말 자기자본 대비 37%에 해당한다. 회사측은 "안정적인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차입한도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2020.07.16 tack@newspim.com |
차임급 한도 확대와 함께 대규모 채권 발행에도 나섰다. 이 같은 대규모 자금 차입에 대해 신용평가업계를 중심으로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특히 자본 적정성 평가 지표인 레버리지 배율이 지난 3월 말 기준 9.1배로 당국 규제수준인 10배에 근접했다.
레버리지 배율은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의 배율을 의미한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캐피탈사는 전체 자산이 자본의 10배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레버리지 배율 규제를 받고 있다.
지난 5월 한국기업평가는 아주캐피탈의 신용등급 하향 검토 요인으로 '레버리지 배율 8배 이상 등 자본 완충력 저하 지속'과 '자산건전성 또는 유동성 지표 저하' 두 가지를 제시한 바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17년 6.5배까지 낮아졌던 수정레버리지는 빠른 영업자산 성장에 따라 2020년 3월 말 9.1배까지 증가했다"며 "4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로 취급 기준 강화를 통해 영업자산 성장속도를 조절하여 현재 수준의 레버리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노효선 한국신용평가 애널리스트는 "고수익-고위험 자산 비중의 확대에 따라 상품별∙고객별 예상 대손률의 합리적 측정, 운용금리에 대한 적정한 반영 여부가 아주캐피탈 이익구조의 핵심 변수"라며 "코로나19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상용차∙중고차와 개인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소폭 저하되면서, 자산건전성 지표의 개선 추세는 둔화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아주캐피탈은 업황 악화에 따른 경영난에 지난 2014년부터 매각을 추진, 2017년 사모펀드인 웰투시에 팔렸다. 우리은행은 당시 출자자(LP)로 참여해 총 1025억원을 투자했다. 더불어 아주캐피탈의 경영권을 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도 확보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