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증권

속보

더보기

[종목이슈] 카카오게임즈, 상장 첫날 '따상' 직행...코스닥 시총 5위 등극

기사입력 : 2020년09월10일 15:57

최종수정 : 2020년09월10일 17:00

공모가 대비 160%↑...시총 4조5680억원

[서울=뉴스핌] 김세원 기자 =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힌 카카오게임즈가 코스닥 상장 첫날인 10일 '따상'(공모가 2배 가격으로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한가)으로 직행하며 화려한 신고식을 치렀다. 단숨에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 순위 5위에 올라섰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게임즈는 시초가(4만8000원) 대비 가격제한폭(30.00%)까지 급등한 6만2400원에 장을 마쳤다. 카카오게임즈는 이날 개장과 동시에 공모가인 2만4000원보다 두 배 높은 4만8000원에 거래를 시작해 곧바로 상한가로 치솟았다. 이후 장 마감까지 상한가를 유지했다.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코스닥 시장에 카카오게임즈가 상장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전광판에 현재가를 비롯한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alwaysame@newspim.com

공모가와 비교하면 1주당 160%의 수익률을 올렸다. 이에 따라 청약증거금으로 1억원을 넣고 5주를 배정받은 투자자들의 경우 주당 3만8400원의 차익을 거두며, 총 19만2000원의 수익을 얻게 됐다. 

거래량은 50만747만주였고 거래대금은 312억원이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이 196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62억원씩 순매도했다. 

시가총액도 상장 첫날부터 4조5680억원을 기록하며 단숨에 셀트리온제약과 제넥신, 케이엠더블유 등을 제치고 코스닥 시총 5위에 안착했다. 공모가 기준인 1조8000억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는 증권사에서 예측했던 적정 기업가치인 2조원대를 뛰어넘는 수치다. 

카카오게임즈는 '따상'을 달성하면서 증권사가 제시한 적정주가도 가뿐히 뛰어 넘었다. 대신증권은 카카오게임즈의 목표주가로 3만3000원을 내놓았다. 메리츠증권과 KTB투자증권이 제시한 카카오게임즈의 적정주가는 각각 3만2000원, 2만8000원이다. 

증권사 중 가장 높은 목표주가를 내놓은 곳은 미래에셋대우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날 보고서를 내고 카카오게임즈의 목표주가를 4만2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엔씨소프트와 넷마블, 펄어비스 등 국내 대표 게입업체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인 30배를 카카오게임즈의 올해 예상 주당순이익(EPS)에 대입해 구한 결과다. 

김창권·임희석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의 장점은 카카오톡이라는 최고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빅데이터를 통한 타겟팅 마케팅과 함께 카카오톡 로그인, 원스톱 인증, 친구와 게임하기 등 쉽고 다양한 게임 접근성을 게이머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상장 전부터 투자자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지난달 말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경쟁률은 1479대 1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IPO 역사상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그 뒤 실시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경쟁률은 1524.85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증거금(58조5542억원)도 종전의 SK바이오팜(30조9900억원)이 보유한 기록을 경신하며 흥행을 예고했다. 

이제 투자자들의 시선은 카카오게임즈의 주가 향방에 쏠리고 있다. 특히 지난 7월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한 이후 사흘 연속 상한가라는 SK바이오팜이 세운 진기록을 깰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SK바이오팜은 상장 이후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며 공모가(4만9000원) 대비 4배 이상 치솟은 21만원 선에서 거래됐다. 그러나 이달 들어 주가는 17~19만원 선에서 거래 중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게임즈에 매수세가 몰린 데는) SK바이오팜 상장으로 인한 학습효과도 한몫한 것 같다"며 "SK바이오팜처럼 상장 후 사흘 연속 상한가라는 기록을 세우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다음날(11일)도 충분히 상한가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한국거래소]

증권업계에서는 카카오게임즈가 다변화된 매출 포트폴리오와 올해 하반기부터 출시되는 풍부한 신작 라입업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황현준 DB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에는 배틀그라운드의 성공을 이끈 펍지의 모회사 크래프톤이 개발한 PC MMORPG '엘리온', 내년 1분기에는 라이온하트의 PC MMORPG 게임인 '오딘:발할라라이징' 등의 퍼블리싱을 앞두고 있다"며 "직접 개발 쪽에서는 자회사 엑스엘게임즈 제작한 달빛조각사의 콘솔용 버전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낮은 자체 개발 게임 비중은 단점으로 지적된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 구성 중 자체 개발 비중이 낮다는 점과 검은사막 북미·유럽 재계약 변수를 감안할 때 밸류에이션 추가 부여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지만 엘리온 등 신작들의 흥행 성과가 우리의 가정치를 넘어선다면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게임즈는 2013년 설립된 엔진이 전신인 게임 전문회사다. 2016년 다음게임과의 합병을 거쳐 카카오게임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PC·모바일게임 퍼블리싱(유통 및 배급)을 중심으로 한 게임 사업과 카카오VX를 통한 골프, AR·VR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카카오 계열사 중 증시에 상장한 것은 카카오게임즈가 처음이다.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920억원, 350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3년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57%에 달했다. 영업이익 연평균 성장률도 51%를 기록했다.

saewkim9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