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대 관장 23일 취임 간담회…민속학 조사·전시·교육 강조
본관·분관 역할 기능 분화…"2031년 세종 이관, 지역관 설립 조건 필요"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종대(63) 국립민속박물관 관장이 오는 7월 개관하는 파주관은 교육과 전시 기능이 강화된 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월 임명된 김종대 관장은 23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7월 파주관을 개관한다고 알렸다. 김 관장은 파주관 개관에 대해 "서울 한강 이북에 국립박물관이 없다. (7월에 개관하면)민속박물관이 유일하다"고 말했다. 이어 "헤이리에서 많은 관람객이 오게될 것"이라며 "단순히 수장고 개념이 아니라 유물을 근거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열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종대 관장이 23일 취임 간담회를 열고 파주관 개관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21.03.23 89hklee@newspim.com |
2014년부터 파주에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 수장고 건립이 시작됐고, 지난해 9월부터 유물 운송작업을 진행해 오는 7월 개관을 앞두고 있다. 파주관은 통일로를 따라가다 헤이리로 접어드는 입구에 세워진다. 6만 평이 넘는 대지 위에 1만평 규모의 건물이 들어선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있다. 박물관 관련 시설은 15개 수장고가 있으며 그 중 개방 영역이 10개, 비개방 영역은 5개로 80만점이 넘는 아카이브 자료를 보관하게 된다. 이 자료는 전시와 교육으로 관람객과 공유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정보센터와 열람실, 어린이체험실, 열린보존과학실, 영상실, 교육실 등이 들어선다.
김 관장은 이날 '민기기재(民記記再)'를 언급하며 '민속을 기록하고, 기억하고 재현하겠다'는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국립민속박물관의 개념을 본관과 분관으로 나눠 운영 방향을 설명했다. 현재 박물관은 파주관을 비롯해 영남관·호남관 등 지역관 만들기를 시도해 조직 확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 중이다.
그는 "지금까지 박물관은 조사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시가 이뤄지는 등 지금까지 혼재됐던 박물관의 방향성을 잡겠다는 것"이라며 "본관과 분관의 개념이 있다면, 본관은 연구센터의 기능을 맡고 분관은 한국 민속 연구를 토대로 전시와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종대 관장이 23일 열린 취임 간담회에서 '민기기재'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21.03.23 89hklee@newspim.com |
파주관 개관을 앞두고 있지만 국립민속박물관은 2031년을 목표로 세종 이관이 계획돼 있다. 경복궁 복원 사업에 따라 세종시로 옮겨가게 됐으며 이관 논쟁은 무려 20년간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관장은 반대하진 않지만, 지역 분관의 필요성이 조건이 된다면 세종 이관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관장은 "세종 이관을 회피하지 않지만 조건이 있다"며 "서울관, 부산관, 지역 관 성정을 배려하는 상황에서 세종 이관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는 "세종 본관은 연구 중심의 센터로 역할을 부여하고 지역관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때 민속 문화에 대한 전승과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순하게 뜬금없이 세종으로 이관하라는 것은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 관장은 끝으로 "제가 도깨비를 전공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도깨비의 모습(뿔이 있는)은 일제 침략기에 만들어진 것"이라며 "민속학은 원형을 찾는데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콘텐츠 발굴과 조사, 연구의 결과물을 토대로 우리 민속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7월 개관 앞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21.03.23 89hklee@newspim.com |
한편 이날 김 관장은 최근 중국이 김치와 한복 등을 자신의 문화라고 주장하는 '문화동북공정' 태세와 관련한 대책에 대한 질문에 "조사 연구과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김종대 관장은 1984년부터 2004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민속연구과장, 전시운영과장 등을 지냈다. 한국민속학회 회장과 한국박물과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중앙대학교 민속학과(2005~2001년)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1994년 '한국의 도깨비 연구'를 출간하면서 '도깨비 박사'로도 알려져 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