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직 IPO본부 이사 인터뷰
올 1분기 IPO수수료 수익 1위
크래프톤, 현대중공업 대표 주관사
지난해 코스닥 IPO 유치 업계 1위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IPO본부가 증권사내 '효자'로 자리잡고 있다. 증권사들이 기업 IPO 유치에 성공하면 건당 수십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올릴 수 있는데다, 투자자들의 공모주 청약 예금이 대거 몰리면 이자수익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증시 상황이 나쁘지 않아 IPO에 나서는 기업들이 꾸준히 늘면서 증권사 IPO본부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SK바이오사이언스 IPO를 시작으로 현대중공업 등 굵직한 대기업 대표주관사를 맡은 미래에셋증권의 IPO본부 조인직 이사를 만나 관련 얘기를 들어봤다.
조인직 미래에셋증권 IPO3팀 이사는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우선 올해와 내년 IPO시장을 긍적적으로 전망했다. 조 이사는 "지난해 IPO공모액이 약 5조원 규모였던 것과 달리 올해는 LG에너지솔루션 등을 포함한 IPO공모액이 약 40조원으로 추정된다"며 "지난 2011년 당시 10조원 규모에 그쳤던것과 비교해도 2~3배 가량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금리 시대,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으로 일반적인 시장 경제 관점상 IPO시장은 3~4년까지는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의 경우 내년 대통령 선거도 있어 시장환경과 증시상황이 나쁘지 않을것으로 보여 올해, 내년까지는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인직 미래에셋증권 IPO3팀 이사. 2021.05.25 mironj19@newspim.com |
IPO를 준비중인 기업들도 꾸준히 늘고 있다. 통상 기업들의 IPO 준비기간은 최소 1년 반 이상이 소요된다. 조 이사는 "기업이 IPO를 준비하고 상장 주관사를 정해 계약 맺고 하는데 약 1년 6개월 정도 걸린다"며 "시장 상황을 예측해 IPO를 준비하는 경우도 있지만 올해 IPO하는 기업들은 시장상황이 좋지 않을때 미리 준비한 기업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미래에셋증권의 IPO기업 발굴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이뤄지지만 벤처캐피탈(VC) 투자가 많은 기업 위주로 진행된다. 4차산업, 기술 특례, 혁신기업, 바이오 기업들이 대표적이다. 고객 대상을 다양화해 대기업 IPO유치에만 치중하지 않고 핀테크, 2차전지 등으로 사업재편이 이뤄지고 있는 중견·중소기업 유치에도 매진하고 있다. 그 결과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코스닥 IPO부문 1위를 차지했다.
기업 고객층을 다양화하면서 실제 올 1분기 미래에셋증권은 국내 증권사 가운데 IPO 주관·인수사로 가장 많은 수수료 수익을 거뒀다. 미래에셋증권이 이 기간에 벌어들인 수수료 수익은 약 200억원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올 상반기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를 필두로 하반기 IPO를 앞두고 있는 게임기업 크래프톤과 조선사 현대중공업의 대표 주관사를 맡았다.
미래에셋증권 IPO본부는 총 3개팀으로 나눠져 운영된다. 3년 전 30명에 불과했던 부서인력은 지금은 총 50여명으로 1.5배 이상 늘었다. 미래에셋증권 IPO본부의 가장 큰 특징은 전문가 인적풀(pool)이 많다는 점이다. 조 이사는 "특정 직군에서만 수십년 넘게 일한 직원들도 있고, 기업 상장 노하우가 많다 보니 이런 것들이 모두 전수되고 있다"며 "IPO유치 기업수와 금액 규모면에서도 업계 1~3등을 놓치지 않고 있다"고 부연했다.
역대급 공모자금이 몰리며 기대를 모았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상장 후 '따상'(공모가 2배로 시초가 형성뒤 상한가) 실패에 대해선 "나쁘게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 이사는 "시장 참여자 입장에선 따상을 좋게 보지는 않는다"며 "조금씩 우상향하는 주가 흐름이 향후 지속가능한 것이고, SKIET의 경우는 주가 기대치가 과도했던 결과로 보여진다"고 했다.
국내 기업들의 미국 증시 입성에 대해선 국내보다 공격적이고 자유로운 금융시스템으로 기업가치를 더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조 이사는 "아무래도 자격만 된다면 미국에 상장하는 것이 한국보다 기업가치를 더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듯 보인다"며 "상대적으로 한국은 공모주 개인투자자 의무배정 등이 있어 상장시에 좀 더 엄격한 규제와 감독이 들어가는데, 나라별 금융체급이 현실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조 이사는 이어 "미국은 기관투자자 중심 장세로 위험감수 시장이기 때문에 체급이 안되는 국내 기업이 미국에서 상장하면 상장유지비용 등을 감당하기 어려운데다 시가총액 평균 금액도 훨씬 작아 소외받기 쉽다"고 지적했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