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정책

속보

더보기

[주목! 중국 유니콘] ③ 전기차 충전인프라 '맏형' 터라이뎬

기사입력 : 2022년10월13일 16:38

최종수정 : 2022년10월13일 16:38

촹예반 1호 상장사 '터루이더' 자회사
中 공용 충전기 시장 점유율 1위
"충전 시장 성장 대표 수혜 기업 될 것" 전망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글로벌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 2012년 1만 2800대에 불과했던 중국 신에너지차(연료전지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지난해 351만 2000대로 급증했다. 전 세계 판매량의 50% 이상이 중국에서 나온 것으로, 중국은 이로써 7년 연속 판매량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중국의 신에너지차 보유량은 1099만대로 업계는 신에너지차 보유량이 2025년 2500만 대를 돌파한 뒤 2030년에는 80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올해 8월 기준 22.9% 수준인 신에너지차 침투율(신차 판매량 대비 비중) 또한 2025년 내에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신에너지차 수요 및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관련 인프라 건설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건설 및 충전기 설치가 대표적이다.

전기차 충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기차 한 대당 충전기 한 기가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다만 올해 8월 말 기준 중국 전국의 충전기 수는 431만 5000기로 전기차 보유량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전기차 충전 업계 미래가 밝게 점쳐지는 배경이다.

[사진=바이두(百度)]

◆ 업계 1위 터라이뎬, 기업가치 2조원 넘어

터라이뎬(特來電·TELD)은 중국 전력설비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제조·운영 기업이자 중국 촹예반(創業板) '1호 상장사'인 터루이더(特銳德·300001)의 자회사다.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2014년 설립됐다.

모기업의 기술우위와 자금력을 바탕으로 터라이뎬은 중국 공용 충전기 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등극했다. 중국 전역 350개 도시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운영서비스를 제공 중으로 133개의 자회사를 설립, 500만 대 전기차의 충전을 지원하고 있다.

중국 산업정보제공기관 첸잔(前瞻)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터라이뎬의 공용 충전기 보유량은 2020년 말의 20만 7400대에서 지난해 8월 말 기준 22만 7100대로 늘어났다. 8개월 동안 9.49% 증가한 것이다.

중국충전연맹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중국 터라이뎬은 30만 3000대의 충전기를 보유 중으로 공용 충전인프라 시장 점유율(42%)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충전량은 152억 킬로와트시(kWh)에 달하고 일평균 충전량은 2000만 kWh은 돌파했다. 자체 플랫폼 가입자 수도 960만 명에 육박한다.

다만 비공용 충전기 시장에서는 경쟁업체인 싱싱충뎬(星星充電)'에 뒤쳐져 있다. 지난해 8월 말 기준 싱싱충뎬이 관리·운영 중인 개인 소유 충전기는 6만 6500기에 달하는 반면 터라이뎬이 운영 중인 개인 소유 충전기는 1173대에 그쳤다.

규모 면에서뿐만 아니라 기술 면에서도 터라이뎬은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 7년간 연구개발(R&D)에만 13억 위안(약 2584억 1400만 원)을 쏟아부으며 기술개발에 매진한 결과 1371개에 달하는 특허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전기차 화재 사고를 73%까지 줄일 수 있는 '신에너지차 안전을 위한 충전망 이중보호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세계 충전 인프라 기술 개척자이자 표준 제정자'라는 평가를 얻었다.

중국 '전기차 스마트 충전 국가-지방 연합 공정 연구센터' 건설에도 참여 중이다. 해당 센터는 중국 전기차 스마트 충전 분야의 유일한 국가급 연구센터다.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2.10.13 hongwoori84@newspim.com

2016년 엔젤투자를 유지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7회에 걸쳐 자금을 조달했다. 모기업인 터루이더와 함께 국가개발은행(國家開發銀行)이 엔젤투자자로 참여했고, 이후 이뤄진 공식 자금 차입과 전략 투자자 유치 때마다 ▲딩후이인베스트먼트(鼎暉投資) ▲싱가포르투자청(GIC) ▲국가전력투자그룹(國電投·SPIC) ▲이브에너지(億緯鋰能) 등 대형 기관·기업들이 주요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6월 자금 차입 당시 136억 위안, 우리돈 2조 7058억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중국과학원이 발행하는 주간지 '후롄왕(互聯網)'과 더번컨설팅(德本咨詢) 등이 공동 발표한 '2022년 신 경제 부문 150대 유니콘 기업'에 랭크됐다.

◆ 모기업서 분할상장 추진, 장기 전망 '낙관'

2020년 11월 말 터루이더가 자회사인 터라이뎬의 분할상장 계획을 밝혔다. 모자기업 모두의 경영 실적이 최근 3개 회계연도 연속 흑자 달성 등 상장 요건을 충족했다면서, 터라이뎬 충전 인프라 사업의 장기적 성장을 도모하고 모자 기업 전체의 자금조달 효율과 종합경쟁력 제고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7월 제7회 중국 국제 전기차 충전·배터리 교체 산업 대회에서 터라이뎬 위더샹(於德翔) 회장이 "올해 하반기 상장할 것"이라고 선언한 지 일년이 지났지만 터라이뎬의 상장은 여전히 '추진 중'에 머물러 있다. 심지어 A주 메인보드에 상장할 것이라는 당초 계획을 수정, '커촹반(科創板)'에 상장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증시 입성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낳았다.

전문가들은 터라이뎬의 상장 지연이 모기업과의 불분명한 재무관계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터루이더의 100% 자회사인 터라이뎬이 독립 상장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가 철저히 분리돼야 하지만 2021년 터루이더 재무제표에는 터라이뎬 실적이 그대로 반영됐고, 터라이뎬 자체 재무제표도 부실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터루이더는 지난해 12월, 이전 6개월 간의 재무 지표를 정정·보완한 보충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시 상장은 터루이더와 터라이뎬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순익이 아직 적자인 상황에서 외부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온 만큼 상장을 조속히 마무리짓지 못하면 투자자들의 투자금 회수 및 이자 지급 등에 따른 자금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터루이더 공시 자료에 따르면 터라이뎬의 2019~2021년 매출은 각각 21억 2900만 위안, 19억 2500만 위안, 31억 400만 위안을 기록했고, 순익은 마이너스(-) 7512만 2600위안, -1억 7100만 위안, -5132만 800위안으로 집계됐다.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2.10.13 hongwoori84@newspim.com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2.10.13 hongwoori84@newspim.com

업계는 그러나 터라이뎬의 상장이 '시간 문제'라며 커촹반이 상장 즉시 터라이뎬은 물론, 터루이더 역시 자금조달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전기차 수요 급증과 함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또한 급성장하면서 경쟁력과 영향력을 갖춘 터라이뎬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크다.

한편 전기차 충전 시장이 성숙하면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기존의 자원통합능력에서 설비 운영 및 유지 보수능력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인프라를 합리적으로 배치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네트워크 기술 활용 수준을 높여야만 치열해 질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터루이더는 터라이뎬의 '가상 충전소' 플랫폼 구축 상황을 공개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전력량을 최소 300MW, 최대 1300MW까지 조절함으로써 충전 인프라 운영 효율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hongwoori84@newspim.com

GAM - 해외주식 투자 도우미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사직 전공의 2924명 복귀 의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20일부터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추가 모집이 시작된 가운데, 최소 사직 전공의 2924명이 복귀 의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대한수련병원협의회(협의회)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에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 4794명 중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2924명(61.5%)으로 집계됐다.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 2924명 중 즉시 복귀를 희망한 사직 전공의는 719명(15.1%)이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복귀 TO(정원) 보장을 조건으로 복귀를 희망한 사직 전공의는 2205명(46.4%)으로 집계됐다. 복지부는 이달 말까지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전공의는 3월과 9월 상·하반기로 나눠 수련 모집을 하는데 의료계 요청에 따라 추가 복귀 길을 열어준 셈이다. 복지부는 사직전공의가 요구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 보장을 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문제는 전공의 약 3000명이 복귀해도 전공의 출근자 비율은 2023년 전공의 임용대상자와 대비하면 절반에 못 미친다. 2023년 전공의 임용대상자는 1만3531명이다. 올해 3월 사직전공의 전체 인원은 1만1713명으로 재작년 대비 86.6%에 해당하는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고 있다. 만일 3000명이 복귀할 경우 2023년 대비 전공의 비율은 35.6%다.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20 14:25
사진
SKT 재점화 '위약금 면제' 논의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해킹 사고로 유출된 정보가 당초 예상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밝혀지자, 유심 해킹 피해 고객 위약금 면제 논의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SKT 유심 해킹 사고 민·관 합동 조사단(민관합동조사단)'의 2차 조사 결과 브리핑에 따르면, 조사단은 SKT 서버에서 총 25종의 악성코드와 23대의 감염 서버를 추가로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번 사고로 약 2695만건 이상의 유심 정보(전화번호,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인 IMSI 등 약 9.82GB 규모) 유출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리눅스 서버 3만여대를 포함한 전체 서버로 점검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조사단은 일부 서버에서 개인정보(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등)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약 29만건이 포함된 파일을 발견해, 해당 정보의 유출 여부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이 19일 데일리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정승원 기자] SKT를 이용하며 '2년 약정' 계약을 맺은 고객 김모(35)씨는 이날 통신사 변경 상담을 신청했다. 김씨는 "유심 정보 해킹 피해를 당한 피해자의 입장이지만, 약정 기간이 약 1년 3개월 남았다는 이유로 10만원을 내야 한다고 통보받았다"며 "SKT가 고객 신뢰를 회복하려면, 고객의 위약금 지불 부담부터 덜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비슷한 처지의 박모(27)씨도 약정(2년 약정) 만료를 약 1년 앞두고, 위약금 8만원을 안내받은 상황이다. 박씨는 "일 때문에 바빠서 전화 상담을 받았는데, 자세한 위약금 도출 과정은 물어보지 못했다"며 "해킹 피해로 금융 범죄 피해는 당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는데, 위약금 부담에 통신사 변경도 마음대로 하지 못해 억울하다"고 말했다.  SKT는 전날 이 같은 고객 의견을 이사회에 전달하기 위해 SKT 고객신뢰위원회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고객신뢰위원회는 최근 해킹 사고로 손상된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 장기적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출범한 외부 전문가 중심의 독립 기구다.  홍승태 SKT고객가치혁신실장은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고객의 생각을 정리해 회사에 전달하는 등 고객 시각을 반영하는 역할을 위원회가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SKT 측은 위원회가 직접 위약금 면제를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 위약금 면제의 쟁점은 'SKT 귀책사유'…정부·법조계도 주목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LTE·5G 이동전화 서비스 등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한 SKT 이용약관 제 43조(위약금 면제)에 따르면 '회사의 귀책 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가 위약금 면제 조건으로 명시돼 있다. [사진=SKT 약관 캡처] 2025.05.19 yek105@newspim.com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결정할 핵심 기준은 'SKT의 귀책사유 여부'가 될 전망이다. LTE·5G 이동전화 서비스 등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한 SKT 이용약관 제 43조(위약금 면제)에 따르면 '회사의 귀책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가 위약금 면제 조건으로 명시돼 있다.  일각에서는 해당 조항이 현실화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약관에서 말하는 귀책 사유란 계약상 급부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며 "SKT는 통화나 데이터 등 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한 만큼, 이번 사건이 위약금 면제 조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현재 회사의 귀책사유를 가리는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조사단은 현재 유심 해킹 사고의 원인 및 경위, 피해 규모, 사내 보안 관리 실태, 사고 대응 과정의 적정성 등을 조사 중이다.  정부는 최종 조사 결과에 따라 위약금 면제 등 책임의 경중을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월례 브리핑에서 "4개 법무법인에 의뢰한 검토 결과를 받아봤지만 아직은 명확하게 답하기 어렵다"며 "결국은 조사단의 결과를 보고 나서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법무법인은 SKT의 ▲고의 또는 과실 여부 ▲정보보호 기술 수준 ▲보안조치의 적정성 등을 기준으로 귀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 같은 기준과 조사단 결과를 고려해, 행정 행위 수준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 "6개월 내 분쟁조정 결과 나올 것"…소비자 집단행동은 '속도'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T 유심 정보 유출 사태 한국소비자원 집단분쟁조정신청서 [사진=이철우 변호사] 2025.05.19 yek105@newspim.com 정부 조사가 길어지는 사이, 일부 고객은 집단으로 행동에 나서고 있다. SKT 이용 고객 59명은 지난 9일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 통신사 이동 시 위약금 면제 및 1인당 30만원 배상을 골자로 하는 집단 분쟁 조정을 신청했다.  대표 신청자인 이철우 문화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이날 "현재 집단분쟁조정 신청이 접수돼 사건 번호가 부여됐으며, 전체 절차는 6개월 이내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며 "전체 소비자에게 위약금 면제를 비롯한 어떤 보상안이 마련된다는 전제하에 신청 금액의 일부가 지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 변호사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약관법) 제5조 제2항("약관의 조항이 명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조항은 작성자에게 불리하게 해석한다")에 따라 소비자분쟁조정위가 SKT에 불리하게 약관을 해석해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재 SKT의 약관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만 명시돼 있을 뿐, 귀책사유가 구체적으로 규정돼있지 않다.  이 변호사는 "핵심은 '회사 귀책사유'에 대한 해석이다"라며 "SKT 측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장애'가 있어야 회사의 귀책사유가 성립한다고 주장하겠지만, '약관법 제5조 제2항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에 따라, 귀책사유에 대한 부연 설명이 없을 때는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국회입법조사처 "SKT 정보 유출 계기로 '위약금 면제' 제도화해야"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통신사 해킹 사고 사후대응의 문제점과 입법과제 [사진=국회입법조사처 캡처] 2025.05.19 yek105@newspim.com 국회입법조사처는 'SKT의 귀책사유'가 인정되기만 한다면 약관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동통신사 스스로 위약금을 면제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를 묻는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더불어민주당)의 질문에 "SKT가 가입 약관에서 '회사의 귀책사유로 인해 고객의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 납부 의무를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번 해킹사태가 SKT 귀책사유로 인한 서비스 문제라면 이 조항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통신사 해킹 사고 사후대응의 문제점과 입법과제' 보고서를 통해 통신사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 소비자를 위한 위약금 면제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입법조사처는 "(유심 해킹 사태 이후) SKT가 뒤늦게 유심 무상 교환 조치를 발표하고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피해가 발생할 경우 보상하겠다는 모호한 입장을 취한 것도 전기통신사업법,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에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구제 조치가 미흡한 현실을 보여준다"며 "피해자가 통신사 이동을 원할 경우, 위약금을 면제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소영 변호사는 이날 "구체적으로는 정보통신망법의 '침해 사고 대응' 부분, 혹은 전기통신사업법상 '이용자 보호'나 '사업자 의무' 조항에 위약금 면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며 "또, 보고서에는 없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소비자 보호 지침도 다시 검토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2차 조사 결과 브리핑을 마친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SKT 유심 해킹 사태 대응에 있어 철저한 조사, 투명한 절차, 그리고 국민 우선의 정보 공개라는 세 가지 원칙으로 임하고 있다"며 "절대 은폐하거나 축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은 오는 6월 말까지 IMEI 등 민감정보 유출 여부, 전체 서버 추가 점검, 해킹 경위와 사내 보안 실태, 회사 귀책사유 등 핵심 쟁점에 대해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yek105@newspim.com 2025-05-19 20: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