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 맞춤형 교육…교사도 늘릴 것"
"공립 학교 체제 점검·혁신 필요"
현 수능, 맞춤형 교육과 거리 멀어
[서울=뉴스핌] 소가윤 기자·김범주 기자(세종) =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수업의 혁신으로 잠자는 교실을 깨울 수 있으며, 입시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취임 이후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출입기자단 차담회에서 대입제도 개편 관련 질문에 "지금은 입시를 바꾸는 논의는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5년 고교학점제 도입 일정에 맞춰 입시제도 개편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중심의 정시전형과 학생부종합 중심의 수시전형 중 어느 전형이 더 공정한지에 대한 논란이 컷던 만큼 대입 제도 개편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있다. 현재 오지선다형의 수능은 맞춤형 교육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7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취임 인사 중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제공=교육부[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11.07 wideopen@newspim.com |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지난 정부에서 수시와 정시 비율을 놓고 국가적 논쟁이 벌어졌을 때 참담했다"며 "사실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을 안 바꿨기 때문에 답이 없는 논쟁을 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수업을 바꾸면 창의성과 인성, 발표 역량 등을 수업에서 판단할 수 있어 수시 공정성이 담보될 것"이라며 "정시의 경우 지식 전달에서 더욱 효과적인 방식을 고민했으면 사교육 부담을 크게 주지 않고 개혁이 가능했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또 "이렇게 수업이 혁신돼야 잠자는 교실이 깨어날 수 있고 입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에듀테크와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학습 모델을 학생 개인맞춤형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원 감축 움직임에 반대되는 의견도 내놨다. 그는 "'하이터치·하이테크(High touch·High tech)'라는 말처럼 기술이 도입될수록 교사가 더 많이 필요하다"며 "교사들의 역할을 바꾸는 혁명적인 교실의 변화가 생길 때 모든 아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며 대한민국이 가장 먼저 그러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거 시행됐던 일제고사에 대해 "일제고사라고 불렸던 평가처럼 지필고사 중심으로 하면 교사나 학생들에게 부담이 크다"며 "교육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맞춤형 평가 방식으로 시행되면 같은 날에 시험을 보거나 지필고사 방식으로 할 필요가 없다. 시도교육감들과 맞춤형 교육을 현장에 도입하고 평가도 같이 실현하는 체제를 구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전면 도입을 앞두고 있는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부총리는 "고교학점제도 등 변화에 따라 입시를 맞춰야 한다"면서도 "고교학점제와 입시와의 연관 관계는 좀 더 고민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입시제도에 대한 피로도가 많이 쌓인 만큼 입시 단순화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자율형사립고(자사고)·국제고·외국어고 등 고교체제 개편 방안에 대해서는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자유와 혁신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 부총리는 이명박 정부 시절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재임 당시 자사고와 마이스터고를 신설하고 입학사정관제, 학업성취도평가를 도입하는 등 교육 개혁을 주도한 바 있다.
이 부총리는 "자율형 공립고라는 틀로 훨씬 더 개선하려고 했지만 충분하지 못했다"며 "결국 자율은 많은 분들이 염려하는 대로 고교서열화의 방향으로 가지 않으려면 계속 혁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교 체제 다양화를 한 단계 더 높인다면 공립 체제들을 다시 점검할 것"이라며 "미국과 영국에서는 정부가 공립 학교에 대해 재정 지원을 하지만 민간처럼 운영된다. 많은 해외 사례와 연구 결과를 참고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ona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