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중국 폐배터리 시장 급성장...2030년 30조원 규모 전망

기사입력 : 2022년12월20일 15:36

최종수정 : 2022년12월20일 15:36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의 성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며 배터리 업체들이 폐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업계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중국 매체 정취안스바오(證券時報)에 따르면 중국 리튬배터리 업체 흔왕달전자(300207)은 최근 공시를 내고 장시(江西)성 이춘(宜春)시와 '전략적 협력 협의'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165억 위안(약 3조 584억 4000만 원)을 들여 이춘시에 염화리튬 등 리튬배터리 소재 생산 공장과 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공장을 단계적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리튬배터리 업계 또 다른 대형 기업인 펑차오에너지과학기술(SVOLT)은 자회사 텅칭칭(藤青青)재생자원을 통해 전기차 메이커인 링파오자동차(零跑汽車)와 '구동용 배터리 종합 순환 이용 협력 협의'를 맺었다. 협의 사항에 따라 양사는 리튬이온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용 전구체 생산업체인 거린메이(GEM)도 폐배터리 업계 대표기업으로 꼽힌다. 2001년 고체 폐기물 재활용 업체로 출발, 2003년 폐배터리에서 원료를 추출하는 기술을 확보하면서 폐배터리 및 원료 재활용으로 사업 범위를 넓혔다. 5000t의 탄산리튬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연간 탄산리튬 회수량을 2026년까지 2만t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밖에도 중국 '배터리왕' 닝더스다이(CATL)와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 기업인 비야디, 배터리 셀 제조업체 이브에너지와 완성차 메이커인 웨이라이(Nio) 등도 폐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중국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에 힘입어 폐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시장 역시 급성장할 것으로 점친다. 특히 5~8년 수준인 배터리 평균 수명을 고려할 때 초기(2015년 전후)에 팔린 전기차들의 배터리 교체 수요가 향후 1~2년 내 집중되면서 2025년이 업계의 터닝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HSBC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대량의 전기차 배터리가 2025년을 기점으로 수명이 다할 것"이라면서 "2030년의 리튬배터리 수요는 2021년의 12배가 될 것이고 폐배터리 규모는 2021년의 15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315 기가와트시(GWh)까지 연평균 41%씩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타이(中泰)증권은 "이론적으로 봤을 때 42만 8000t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가 2025년 교체 주기를 맞고, 2030년에는 전기차 폐배터리 규모가 300만 1000t에 달할 것"이라며 "폐배터리 회수 시장 규모가 2030년 1485억 3300만 위안에 육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폐배터리 재활용업체로 중국 유니콘 기업 리스트에 올라 있는 진성신에너지(金晟新能)이 증시 상장 준비에 착수한 것도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진성신에너지는 지난달부터 상장 심사 준비에 돌입했고 내년 기업공개(IPO)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IPO 준비에 앞서 진성신에너지는 8월과 지난달 각각 B라운드, B플러스(+)라운드 투자금 유치에 나섰다. 글로벌 최대 자동차 부품 업체 보쉬(bosch)와 광저우자동차그룹 산하 투자회사 광저우자동차캐피탈(GAC CAPITAL) 등 투자 업계 '큰 손'이 대거 투자에 참여했다. 

진성에너지 기업가치는 120억 위안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거린메이 시가총액(394억 4100만 위안)의 3분의 1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시 입성 이후 기업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