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 보고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선 시대 왕릉 봉분의 크기는 시기가 지날수록 작아졌다. 초기에는 봉분의 지름이 약 10m에 이르렀으나 15세기 후반부터 줄면서 17세기 후반부터는 약 7m까지 축소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조성왕릉의 봉분제도와 능침지반의 원형을 밝히기 위해 조사한 결과를 담은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를 위해 산릉의궤와 조선왕조실록 등 고문헌을 분석하고 3차원 입력(3D스캔)과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 보고서 표지 [사진=문화재청] 2023.02.21 89hklee@newspim.com |
이번 보고서에 봉분의 크기와 높이, 봉분 간격, 위요석물 등의 시대적 변화양상에 대한 내용과 조선시대 봉분 정비사례 및 과거의 발굴과 수리기록 등을 분석해 도출한 봉분의 붕괴 원인과 개선방안을 함께 담았다.
조선 초기 왕릉의 지하 현궁은 대형석재로 넓은 석실을 만들었기 때무에 봉분의 지름도 32~35자(약 9856~10780mm) 사이로 컸으나 15세기 후반 이후로는 현궁을 대형석재 대신 회격으로 조성하기 시작해 점차 봉분의 지름이 줄어들었으며 17세기 후반부터는 합장릉을 제외한 단릉 및 쌍릉, 삼연릉의 경우 봉분의 좌우지름과 봉분 사이 간격을 조절하면서 봉분 지름이 25자(약 7700mm)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시대 흐름에 따라 봉분 규모가 축소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조사 결과, 조선왕릉은 현재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관리돼 오면서 봉분 주의의 석물에 따라 봉분의 지름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병풍사대석(병풍을 갖춘 돌, 봉분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쌓은 돌)을 갖춘 왕릉은 비교적 조성 당시 봉분제도에 부합하나 봉분높이가 높아졌고 난간석(봉분을 울타리처럼 두르고 있는 석물)만 갖춘 왕릉은 봉분의 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졌으며 봉분의 둘레와 지름을 지탱해줄 위요석물이 없는 왕릉의 경우는 봉분의 하부지름은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외에도 조선시대에서부터 관리가 소홀했다는 점 등 흥미로운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선후기 봉분 지름의 변화 [사진=문화재청] 2023.02.21 89hklee@newspim.com |
능침지반의 경우 조선 초기에는 봉분 사방으로 미세한 경사면을 조성하고 곡장 주변으로 배수로·배수구·배수홈 등을 설치했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면에서 전면으로, 초계의 중심에서 양끝이 낮아지도록 경사면을 적극적으로 조성하여 점점 발달된 배수체계를 만들었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밝혀냈다.
궁능유적본부 관계자는 "향후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봉분 및 능침지반 관리방안 및 정비계획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해 세계유산 조선왕릉의 체계적인 보존·관리가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