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中, 나트륨배터리 탑재 테스트카 공개...리튬보다 가격·환경면서 '강점'

기사입력 : 2023년02월24일 14:15

최종수정 : 2023년02월24일 14:15

에너지 출력 약하고 장거리 주행 어려운 것이 약점
"짧은 주행 거리는 기술 발달로 극복 가능해"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에서 나트륨배터리를 탑재한 테스트카가 공개됐다. 가격 경쟁력이 강한 나트륨배터리 상용화에 가속도가 걸릴 것이란 관측이다.

중국 매체 정취안르바오(證券日報) 24일 보도에 따르면 배터리 기업 중커하이나(中科海納)는 23일 신체품 출시 대회에서 완성차 업체 장화이(江淮)자동차그룹과의 합작 결과물을 공개했다. 장화이자동차의 주력 모델인 쓰하오(思皓) EX10 화셴쯔(花仙子)에 중커하이나의 나트륨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중국 최초의 나트륨배터리 자동차가 선을 보인 것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이번에 공개된 테스트카는 25kMh 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으로 최장 250km 주행 가능하다. 급속 충전 시간은 15~20분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설립된 중커하이나는 차세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발 및 나트륨배터리 생산이 주력 사업이다. 2021년 6월 세계 최초로 나트륨배터리를 탑재한 1MWh급 ESS를 출시한 바 있다.

중커하이나가 지난해 4월 초 공개한 기업정보에 따르면 신규 주주 명단에 선전하보(哈勃投資, 이하 선전하보) 등의 이름이 올라있다. 선전하보는 화웨이 산하의 투자 전문 자회사로, 중커하이나 지분 13.33%를 보유한 3대 주주다.

[사진=중국 매체 제커(ZAKER) 갈무리] 중국 완성차 업체 장화이(江淮)자동차그룹과 배터리 기업 중커하이나(中科海納)가 합작한 나트륨 이온 배터리 탑재 전기차

나트륨배터리는 2차 전지의 한 종류로 현재의 주류인 리튬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로서 각광받고 있다. 리튬 자원은 지역별 매장 편차가 크고, 채굴의 어려움이 있어 안정적 공급에 걸림돌이 돼 왔다.

특히 중국의 전기차 수요가 급증한 것 등의 영향으로 탄산리튬 가격이 급등, 완성차 업계 등의 비용 부담이 커졌었다. 2021년 초 톤(t)당 5만 위안(약 938만 1000원) 수준이었던 탄산리튬 가격은 지난해 11월 60만 위안까지 급등했다.

중국 광물 컨설팅 업체 상하이강롄(上海鋼聯) 자료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배터리용 탄산리튬 가격은 t당 42만 9000위안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고점에 비해 30%가량 하락한 것이지만, 여전히 t당 40만 위안 수준의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나트륨배터리는 리튬배터리와 비슷한 구조적 특징을 지님에도 가격이 저렴하다는 우위를 갖고 있다. 나트륨배터리에 사용되는 구리·철·망간 등은 지표면 가까이에 다량 매장돼 있어 원료 확보가 상대적으로 쉽다. 때문에 나트륨배터리의 생산원가를 리튬배터리 대비 20%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적 측면에서 보아도 리튬배터리보다 낫다는 평가다. 장샤오룽(張孝榮) 선두테크놀로지연구원(深度科技研究院) 원장은 "리튬배터리 회수 기술과 설비 모두 나트륨이온배터리에 적용할 수 있다"며 "코발트나 흑연 등이 없는 나트륨배터리를 회수·재활용 하는 것이 환경 피해가 더 적다"고 설명했다.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나트륨배터리 개발 속도가 더뎠던 것은 에너지 출력이 약하고 장거리 주행 지원이 어려워서다. 때문에 지금까지는 이륜차나 ESS,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돼 왔다. 다만 기술이 성숙해지면 나트륨배터리 응용 범위 및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저상(浙商)증권 자동차 전문 애널리스트 스이(施毅)는 "지난해 말 기준 나트륨배터리의 목표 생산능력은 48GWh에 달했다"며 "닝더스다이(宁德时代·CATL)와 푸넝테크놀로지(孚能科技·Farasis) 등 배터리 기업이 나트륨배터리 전면 산업화 계획을 발표했다. 나트륨배터리 생산능력이 올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진공사(中金公司·CAII)는 "2023년은 나트륨이온 산업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2025년이면 글로벌 나트륨이온배터리 출하량이 90GWh를 돌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궈롄(國聯)증권은 "올해 리튬 가격이 t당 40만~45만 위안의 고가에서 움직일 것임을 감안할 때 첫 양산된 나트륨배터리는 뚜렷한 가격 우위를 갖는다"며 "리튬 가격이 2026년까지 t당 15만 위안 이상의 수준을 유지한다면 나트륨배터리는 더 큰 산업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국무위원들과 마지막 소명 다할 것"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 상호관세 관련 "미국측이 제기하는 각종 비관세 장벽 및 협력 프로젝트 등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구체화시켜 달라"고 14일 각 부처에 주문했다. 한 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미국이 한국을 포함해 주요 무역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품목별 관세부과, 미·중 긴장 격화 등 위기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한 대행은 "저 또한 그간의 통상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네트워크 등을 십분 활용해 국무위원들과 함께 저에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총리실] 2025.04.10 photo@newspim.com 한 대행은 "오늘부터 3일간 국회 대정부 질문이 시작된다"며 "그간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제기된 각종 불신과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관련 대응 상황을 있는 그대로 투명하게 답하고 설명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각 부처 장관들을 향해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티메프 사태'에서 드러난 대금정산 지연 등 입점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대한민국 미래먹거리를 위한 '반도체특별법' '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안 등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국회의 대승적 협조를 거듭 요청드린다"고 했다. 한 대행은 또 "재난·재해 대응과 통상·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을 위한 필수 추경안도 조만간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대행은 최근 발생한 경기 광명 전철 공사장 붕괴 사고와 서울 동대문역 지하상가 화재를 언급하면서 "정부는 국민 안전에 무한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부터 두 달간 전국적으로 공사장, 건축물 등 안전 취약시설 2만2000여 곳에 대한 '집중안전점검'을 실시한다"며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이번 점검에 임하는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모든 공직자들은 비상한 각오와 책임감을 가지고 안전 점검을 철저히 수행해 주시기를 강조드린다"고 덧붙였다. p@newspim.com 2025-04-14 11:20
사진
이재명, 출마 첫 일정 AI기업 챙기기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공공분야에서 어떤 게 필요한지 말씀을 많이 해달라"고 말했다. 제21대 대선 출마를 선언한 후 첫 행보로 AI 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에 위치한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백준호 대표와 구본철·이주윤 연구원 등을 만났다.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25.04.14 photo@newspim.com 이 전 대표는 "저로선 최대 관심은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더 나은 삶을 살게 할까"라며 "그중에 제일 중요한 건 역시 먹고사는 문제, 일자리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 세상이 거의 문자 발명에 준하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것이 소위 인공지능 문제다. 그 분야에서 (퓨리오사 AI가) 첨단 분야를 개발하고 계신 것 같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백 대표 등을 향해 "국민들한테도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주시는 거 같다"며 "국가 공동체가 어떤 역할 통해서 인공지능 사회에 대비해 나갈지 살펴봐야 할 거 같고, 그 현장을 같이 살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후 백 대표와 함께 퓨리오사 AI의 기술 시연을 보고 반도체 양산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업계의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이 전 대표 캠프의 강유정 대변인은 이후 취재진과 만나 "이 전 대표가 어떤 방식의 정부 구성이나 도움, 지원이 필요한가 질문했고, 거기에 대해서 백 대표 등이 답했다"며 "추가하자면 인적 자원이 해외 유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혜택과 어떤 여러가지 지원들도 고려해봐야하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 전 대표의 이날 퓨리오사 AI를 방문하기 이전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AI 관련 정책과 공약도 내놨다. AI 산업에 100조원을 투자하고,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있게 강화하겠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pcjay@newspim.com 2025-04-14 12: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