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라이프

속보

더보기

산과 바다, 호수가 어우러진 변산에 가다…직소폭포에 반한 나그네

기사입력 : 2024년01월11일 12:11

최종수정 : 2024년01월11일 12:40

내변산 절경을 그림처럼 담은 직소보의 유혹
한반도 백악기의 화산 흔적 주상절리도 만나다

1억년 전 공룡이 살았다는 한반도 백악기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백미 중 하나는 직소폭포입니다. 국립공원 입구에서 계곡과 숲길을 지나 폭포를 찾아가는 나그네에게 직소보가 "어디를 그리 바삐 가느냐"며 황진이 흉내를 냅니다. 청에 못 이기는 척 카메라에 속살이 다 비치는 물속과 아름다운 풍광을 담으면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이야기를 나누다 다시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선녀탕을 지나 마주한 직소폭포가 백악기 주상절리와 함께 시원한 풍악을 울리며 "잘 왔노라"고 노래를 부릅니다.

내변산 절경을 그림처럼 품은 직소보.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부안=뉴스핌] 이영태 여행선임기자 = 전북 부안을 대표하는 천년고찰 내소사 동종의 국보 승격 기념행사를 마치고 변산반도국립공원으로 향했습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은 국내 22개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산과 바다, 들과 호수가 어우러진 종합선물세트 같은 곳입니다. 변산은 해안가에 있는 외변산과 내륙에 있는 내변산을 합쳐 부르는 이름입니다.

직소폭포 탐방은 내변산 탐방지원센터에서 시작합니다. 내변산에 형성된 협곡 중 봉래계곡은 아홉 개의 굽이를 이루면서 흘러가는 계곡으로 상류에서부터 대소폭포, 직소폭포, 분옥담, 선녀탕, 봉래곡, 영지, 금강소, 백천, 암지 등의 하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봉래구곡'이라고도 부릅니다.

변산은 호남 5대 명산의 하나로 능가산(楞伽山)·영주산(瀛洲山)·봉래산(蓬萊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습니다.

내변산 탐방지원센터에서 직소폭포까지의 거리는 약 2.3km입니다. 천천히 걸으면 왕복 2시간 가량 걸립니다. 등산로라기보다는 산책하기 좋은 트래킹 코스에 가깝습니다.

국보 320호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권상(卷上)이 처음 발견된 부안 실상사.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숲길을 10분 가량 걷다보니 너른 터에 자리잡고 있는 실상사(實相寺)가 보입니다. 남원 지리산에 있는 실상사와는 이름은 같지만 다른 가람입니다. 부안 실상사는 내소사와 함께 부안을 대표하는 천년고찰이었지만 한국전쟁의 참화 속에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됐습니다. 현재 복원된 것은 미륵전과 삼성각뿐입니다.

조선시대 왕실 사찰이었던 실상사는 국보 320호인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권상(卷上)이 처음 발견되면서 학계와 종교계의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대왕이 석보상절을 읽고 직접 지었다는 찬불가입니다.

실상사를 주마간산하고 1995년 부안댐이 완공되며 인공호수가 된 직소보에 도착했습니다. 살며시 구름에 가린 겨울햇살을 받은 수면에 은비늘이 반짝입니다. 내변산 절경을 그림처럼 품은 직소보 물속은 산책로 가까운 곳도 한길이 넘는다는데 하도 맑아서인지 그리 깊어 보이지 않습니다.

맑은 직소보 물속.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선녀들이 목욕하면서 놀기를 좋아했다는 자연욕조 선녀탕을 지나니 변산반도가 백악기에 분출된 유문암 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주상절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변산 구릉지는 중생대 쥐라기에 형성된 지형이라고 합니다. 해설사는 변산 주상절리의 경우 용암의 온도가 낮아 깍아지른 절벽의 형태가 아니라 원만한 경사로 조성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변산반도가 백악기에 분출된 유문암 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주상절리.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저 멀리 물소리가 들리는가 싶더니 어느새 직소폭포가 시원한 모습을 드러냅니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최근 눈과 비가 많이 와서인지 겨울임에도 제법 수량이 풍부하고 소리가 우렁찹니다.

직소폭포는 높이는 약 30m이며, 변산8경 중 2경입니다. 폭포에서 쏟아지는 물이 깊이를 헤아리기 어려운 소(연못)를 이루는데, 이 소를 용이 승천한 곳이라는 실상용추(實相龍湫)라고 부른답니다.

변산8경 중 2경인 직소폭포.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직소폭포는 폭포수가 바위에 걸리지 않고 폭포 아래 소로 바로 떨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폭포 주변으로는 다각형 기둥의 주상절리 바위들이 호위병처럼 서있습니다.

직소폭포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던 나그네는 좁은 길을 헤치고 폭포 앞까지 다가가 손 위에 떨어지는 폭포수를 살포시 올려봅니다.

직소폭포를 손 위에 올린 나그네.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참고로 변산8경은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있는 웅연조대(雄淵釣臺)·직소폭포(直沼瀑布)·소사모종(蘇寺暮鐘)·월명무애(月明霧靄)·채석범주(採石帆柱)·지포신경(止浦神景)·개암고적(開岩古跡)·서해낙조(西海落照) 등을 가리킵니다.

내변산을 둘러본 나그네의 발길은 외변산이 있다는 해안으로 향합니다. 부안군이 조성한 마실길을 통해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을 거쳐 적벽강, 수성당에 다다릅니다.

'적벽강'은 2004년 11월 17일 명승으로 지정됐습니다. 후박나무 군락이 있는 연안으로부터 용두산(龍頭山)을 돌아 절벽과 암반으로 펼쳐지는 해안선 약 2km, 29만1042㎡를 적벽강이라고 부릅니다. 해안이지만 중국의 적벽강만큼 경치가 뛰어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2004년 11월 17일 명승으로 지정된 적벽강.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적벽강에서 조금 더 걸어가면 칠산(七山)바다를 수호하는 수성할머니라는 해신(海神)을 모시는 수성당이 나옵니다. 이 지방의 해안마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마을의 공동 신앙소로, 건평 4평의 단칸 기와집입니다.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흘에 지역 주민들이 수성당제를 지낸다고 합니다.

원래 나그네는 '채석강'으로 불리는 격포 해변까지 찾아보려고 했는데 일행들의 바쁜 일정으로 후일을 기약하며 아쉬운 발걸음을 돌립니다. 부안 채석강은 바닷물의 침식작용으로 독특한 해안 절벽 지형을 형성한 곳으로, 중국 당나라 이태백이 즐겨 찾은 채석강과 유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수성할머니라는 해신(海神)을 모시는 수성당. 2024.01.11 [사진=이영태 여행선임기자]

medialyt@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유심 교체' 북새통...내 차례 올까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해킹 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인천의 한 대리점에서 고객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SKT는 사이버침해 피해를 막기 위해 이날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곳의 T월드 매장에서 희망 고객 대상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진행한다. 2025.04.28 yooksa@newspim.com   2025-04-28 12:12
사진
"화웨이, 엔비디아 H100 능가 칩 개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중국 화웨이가 미국이 수출 금지한 엔비디아 칩을 대체할 최신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해 제품 시험을 앞두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 시간 27일 보도했다. 신문은 화웨이가 일부 중국 기술기업에 새로 개발한 '어센드(Ascend) 910D'의 시험을 의뢰했다고 전했다. 어센드 910D는 엔비디아의 H100보다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르면 5월 말 시제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21일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AI칩 910C를 내달 초 중국 기업에 대량 출하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은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제공해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리게 하는 훈련 모델용으로 엔비디아 칩에 필적하는 첨단 칩을 개발하는 데 주력해왔다. 미국은 중국의 기술 개발을 억제하기 위해 B200 등 최첨단 엔베디아 칩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H100의 경우 2022년 제품 출하 전에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매장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4.28 kongsikpark@newspim.com kongsikpark@newspim.com 2025-04-28 12: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