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소재·친환경 에너지로 포트폴리오 확장
불확실한 환경 속 검증된 경영 능력, 권영수 주목
보수정권 관료 출신, '현 정권과 우호' 최중경·윤상직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포스코그룹의 차기 회장 선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최대 실적을 바탕으로 강력한 후보로 꼽혔던 현 최정우 회장이 후보에서 배제된 이후 관심은 포스코가 내부 후보냐 외부 후보냐 누구를 차기 회장으로 발탁할 것인가에 쏠리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사진=뉴스핌DB] |
그중 외부 후보에 대한 관심은 최근 내부 후보가 확정되고 외부 후보에 대한 평판 조회가 시작되면서 고조되는 분위기다. 포스코 측이 외부 후보를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포스코 주변에서는 여러 외부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분위기다.
포스코는 창립 이래 회장으로 외부 인사를 선임한 적이 단 한 번뿐이었다. 주인공은 4대 김만제 회장으로 김영삼 정부 시절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를 지낸 관료 출신이다. 김 회장은 당시 박태준 창업주가 김영삼 정부와의 불화로 사임하면서 그 자리를 채웠다.
이후 포스코는 내부의 철강 전문가가 주로 회장을 해왔다. 비철강 전문가 출신인 최정우 회장이 포스코 회장으로 선출됐을 때 의외라는 말이 나왔을 정도다.
최근 분위기는 외부 인사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져 있다. 내부 후보가 확정된 이후 외부 후보에 대한 평판조회가 시작되면서다.
특히 포스코가 미래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철강 만이 아닌 2차 전지 첨단소재, 친환경 에너지 분야로 크게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외부 전문가의 새로운 시각이 포스코 발전에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내부 순혈주의에 갇히지 말고 능력 있는 외부 인사에게도 문호를 열어야 한다는 말까지 들려온다.
포스코 차기 회장의 대표적 외부 후보로는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 거론된다.
업계에 따르면 권 전 부회장은 포스코 CEO 후보추천위원회가 요청한 평판 조회 동의서에 서명했다.
권 전 부회장은 1979년 LG전자 기획팀에 입사한 이후 44년 동안 LG디스플레이·LG화학·LG유플러스·㈜LG의 대표이사를 지낸 대표적인 LG의 스타 CEO다.
권 전 부회장은 1957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산업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LG전자 재경부문장 사장,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회장, LG화학 전지사업본부 본부장·사장,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 LG 대표이사 부회장,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부회장을 지내 지난해 용퇴했다.
권 전 부회장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화려한 경영 성과 때문이다. 권 전 부회장은 LG에너지솔루션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 공개를 이끌었고, LG디스플레이에서는 LCD 패널 점유율 세계 1위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LG화학에서도 차량용 배터리 세계 1위를 이뤘다.
포스코그룹의 근간인 철강 분야를 경험하지 못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이미 검증된 경영 역량과 리더십, 정재계 및 문화계의 넓은 인간관계 등으로 글로벌 기업 포스코의 차기 회장으로 손색 없다는 평가다.
권 전 부회장 외에는 관료 출신인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외부 후보로 꼽히고 있다. 두 전직 장관은 보수 정권 시절 경제 관료를 지낸 인사로 현 정부와의 우호적 관계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자 단점이다.
최 전 장관은 1956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 제22회 행정고시 합격 이후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국장, 국제부흥개발은행 상임이사, 기획재정부 제1차관,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낸 정통 관료 출신이다. 특히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관을 거쳐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내는 등 핵심 실세로 꼽혔다.
과거 장관 시절에는 '철의 날' 행사에 참석해 철강업계의 화합과 발전을 기원하는 등 관심을 보였다. 장관 사퇴 이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을 거쳐 한미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윤상직 전 장관은 박근혜 정부 시절 활약한 실물경제 전문가다. 윤 전 장관은 1956년생으로 부산고와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위스콘신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 제25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이후 중소기업청 전기위원회 사무국 국장, 지식경제부 기획조정실 실장, 청와대 대통령실 지식경제비서관, 지식경제부 제1차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이후에는 부산 기장군에서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이들 외에는 이영훈 전 포스코건설 사장, 조청명 전 포스코플랜텍 사장, 황은연 전 포스코인재창조원장 등 전직 포스코 임원이 주로 외부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다.
새로 선임되는 포스코 회장은 최근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한 전방 사업의 수요 부진과 원재료 가격 인상 등으로 어려운 철강 업황을 극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2차 전지 소재 사업에서도 불확실한 환경 속을 헤쳐나가는 위기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내부 후보군은 포스코의 경영 상황을 잘 이해하며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불확실한 환경을 헤쳐갈 능력 있는 외부 경영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 추천위원회는 오는 17일 평판조회를 끝낸 외부 후보자를 심사해 외부 롱리스트를 확정한다.
이후 내외부 롱리스트로 만들 예정이며, 이달 말 5명 안팎의 숏 리스트로 좁힌다.
심층 면접 등을 통해 선정되는 최종 후보 1명은 2월 중 확정된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