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전국 경기남부

속보

더보기

[종합] 하남 최종윤 국회의원 22대 총선 불출마 선언

기사입력 : 2024년01월22일 11:18

최종수정 : 2024년01월22일 11:21

[하남=뉴스핌] 강영호 기자 ="정치 복원에 앞장설 인재가 저의 빈자리를 채웠으면 합니다."

최종윤 국회의원 22대 총선 불출마 선언[사진=최종윤 국회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최종윤 국회의원(57.하남)이 22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최 의원 이날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불출마하기로 했다. 곧 있을 총선의 사명과 부족한 제게 큰 책임을 맡기신 하남시민에 대한 도리를 두고 고심을 거듭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 정치는 당파성을 명분으로 증오를 생산하고 있다. '죽이는 정치', '보복의 정치'라는 표현이 과장된 비유가 아니다. 제가 국회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바도 다르지 않다. 정치에서 말이 대화와 타협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상대방을 공격하고 헐뜯는 무기가 된 지 오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정치가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장하고 있다. 정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했고, 민주주의는 길을 잃었다. 민의의 전당이어야 할 국회 본회의장은 여과 없이 분출되는 야유와 비난의 장이 되었고, 저는 이 풍경이 가리키는 현실을 인정하기로 했다.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 민주주의가 아니다.' 우리는 누가 더 상대방에 대한 증오를 효과적으로 생산하는지 경쟁하고 있을 뿐이다. 누구라도 그 경쟁의 복판에서 자유롭기 어려웠고, 저 역시 마찬가지였다"고 덧붙혔다.

특히 그는 "장기적 정책과제는 표류했다. 당장 내일 상대방이 가장 아플 말을 찾는 것이 우선 과제였다.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국민연금 개혁, 젠더갈등 등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할 과제들은 공허한 구호로만 맴돌았다. 인구위기 대응에 소명을 갖고 임했지만, 소모적 회의만 거듭할 뿐이었다.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좌절감은 어쩔 수 없었다. 최근 양당에서 발표한 저출산 대응 공약이 선거 후에도 진지하게 다뤄지길 바란다"고 역설했다.

최 의원은 "무엇보다 사랑하는 하남시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와 송구한 마음 뿐이다. 4년 전 총선에서도, 또 지난 임기 동안에도 정말 많은 분의 도움을 받았다"면서 "남은 임기는 하남과 대한민국을 위해 미처 못다 한 일을 마무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hk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실패...검은 연기 [뉴욕 런던=뉴스핌]김근철· 장일현 특파원=새 교황 선출을 위해 7일(현지시간) 시작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 회의)에서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9시쯤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성당 굴뚝 위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는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 133명의 첫 투표에서 선거인단 3분의 2 이상인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었다는 의미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예배당의 지붕 굴뚝에서 7일(현지시간) 밤 교황 선출 실패를 알리는 검은 색 연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 지지로 새 교황이 선출되면 교황청은 투표 용지를 태워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 흰 연기를 피우고, 아니면 검은 연기로 투표 결과를 알린다. 첫날 회의에 새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 계속 머물면서 8일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 하루 최대 네 차례 투표해 제267대 교황을 뽑게 된다. 지난 2013년에는 다섯 번째 투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가톨릭 규정에 따라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시작한다. 콘클라베 방식의 교황 선출은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정립했다. 정치적 외압이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추기경들을 한곳에 몰아넣고 차기 교황을 뽑을 때까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스티나 성당은 19세기 후반부터 콘클라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콘클라베에서는 모든 추기경이 후보인 동시에 유권자이다.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각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적어 내며,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벽화가 있는 제단 앞에서 비밀 투표를 반복한다. kckim100@newspim.com 2025-05-08 04: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