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중기·벤처

속보

더보기

현대바이오, 캘리포니아 샌디에고 대학서 '제프티'로 롱코비드 연구자 임상 실시 결정

기사입력 : 2024년09월19일 12:58

최종수정 : 2024년09월19일 12:58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대학(UCSD: University of California-San Diego) 스미스 교수(Dr. David Smith) 연구팀이 제프티(Xafty)로 롱코비드 연구자 임상 실시를 결정했다고 19일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발표했다.

롱코비드는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으로 그 주요 원인과 증상을 살펴보면 코로나19 감염으로 체내에 바이러스가 잔류해 기침, 가래, 후각·미각 상실 증상이 지속되고, 체내에 침투한 바이러스가 신경세포를 손상시킴에 따라 신경세포의 도파민 분비가 감소해 브레인 포그(brain fog, 심한 인지능력 및 집중력 저하) 증상이 발생하며, 면역체계가 교란되어 호흡곤란, 피로감, 무기력 증상 등 자가면역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최소 6500만 명이 롱코비드를 겪고 있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의하면 18세 이상 미국 성인 가운데 8.9%(11명 중 1명)가 롱코비드에 걸리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코로나19로 감염된 사람들의 상당수가 롱코비드로 고통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지 4년이 지난 현재까지 마땅한 롱코비드 치료제가 없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치료제 제프티(Xafty). [사진= 현대바이오]

롱코비드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해당 약물이 그 원인인 체내 잔류 바이러스 사멸, 바이러스로 인하여 손상된 신경세포 회복 및 면역체계 교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미국 등에서 일부 약물로 롱코비드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나 그 약물은 모두 이와 같은 3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반면 제프티는 롱코비드의 위 3가지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약물이다. 코로나19 임상시험 결과 투약 16시간 후에 신속히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소시키고 코로나19 12가지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입증되었고, 최근 실시한 파킨슨 모델 동물실험 결과 손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켜 도파민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프티의 주성분인 니클로사마이드는 2560개의 약물 중 염증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난 약물로 확인되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생긴 면역관련 단백질의 과도한 활성화와 이로 인한 장기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물질이다.

그러나 니클로사마이드는 그동안 낮은 생체이용률을 극복하지 못해 약물로 재창출되지 못했다. 제프티는 약물전달체 특허기술로 '낮은 생체이용률'을 개선해 약물재창출한 치료제로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3상 절차가 진행 중이고, 조만간 미국 FDA에도 3상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자임상을 주도하는 UCSD 의과대학 알트만 임상 연구 및 중개 연구 센터(Altman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Institute, ACTRI)의 센터장을 맡고 있는 스미스 교수는 코로나19 발발 초기 그 치료법을 찾기 위한 미국 정부 대응의 일환인 ACTIV-2 치료 연구의 국제 프로토콜 공동 의장을 역임하였고, 2022년과 2023년에 과학 인용 횟수 기준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인정받은 HIV, 코로나19, 엠폭스는 물론 롱코비드 연구의 권위자다.

또한 이번 연구자임상의 PI(Principal Investigator)를 맡게 된 스미스 교수팀의 ACTRI 소속 바티(Dr. Ajay Bharti)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및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서 자금을 지원받아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감염병 전문가다.

스미스 교수팀이 롱코비드 연구자임상의 약물로 제프티를 선택한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세포실험 결과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니클로사마이드의 낮은 생체이용률 문제를 극복하여 약물재창출한 제프티가 코로나19 임상을 통해 인체 내에서도 최초로 항바이러스 효능 및 그로 인한 항염증 효능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롱코비드는 장기 치료가 예정되어 있는 질환이어서 장기적으로 복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성이 확인되어야 하는데, 제프티는 13주간의 동물 대상 독성 시험에서 안전성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파킨슨병 동물실험 결과 제프티가 손상된 신경세포(Neuron)를 회복시켜 도파민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제프티가 롱코비드의 주요 증상인 신경 손상, 브레인 포그,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스미스 교수는 "이번 연구자임상의 목표는 제프티가 니클로사마이드의 바이러스 억제, 염증반응 억제, 신경보호 등 다중 기전을 통해 롱코비드의 복합적인 증상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제프티가 롱코비드 치료에 역사적인 돌파구(breakthrough)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대바이오 우흥정 부사장은 "국내에서 제프티로 롱코비드 연구자임상을 시도했으나 좌절되어 너무 아쉬웠다. 하지만 미국에서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제프티의 효능을 인정하고 롱코비드 연구자임상을 시작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며 "이번 연구가 롱코비드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nylee5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