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의 황정민·조승우·김성철 꿈꾸며 도전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황정민, 박해수 등 꾸준히 연극 무대에 오르던 이들에 이어 전도연, 김소진, 유승호 등 다양한 배우들이 무대로 진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무대와 매체를 병행하던 배우였던 조승우도 뮤지컬에서 연극까지 활동 영역을 넓혔다.
지난해 국립극장에서 공연한 샘컴퍼니의 연극 '맥베스'에서는 배우 황정민이 오랜만에 연극 무대에 올랐다. 이 연극엔 김소진, 송일국, 송영창 등 무대보다 영화, 드라마 등 대중매체에서 익숙한 배우들이 다수 출연했다. 앞서 황정민 출연작이었던 '리차드 3세' 등에도 장영남 같은 익숙한 얼굴을 만날 수 있었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연극 '맥베스'의 한 장면 [사진=샘컴퍼니] 2024.07.23 jyyang@newspim.com |
박해수 역시 연극, 뮤지컬 무대에서 오래도록 활동해온 경력을 다시 살렸다. 2023년 '파우스트'에 이어 지난해엔 사이먼 스톤 연출의 '벚꽃동산'에 전도연과 함께 주연으로 출연하면서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었다. 이 연극은 오는 3월 부산시민회관에서도 막을 올릴 예정이다. 넷플릭스 '더 글로리'와 '전, 란'에 출연한 배우 정성일도 무대에서 잔뼈가 굵은 배우로서 올해 연극 '카포네 트릴로지'로 오랜만에 관객들과 만난다.
원래 무대와 연이 있던 배우들이 아니어도, 요즘은 너도나도 연극 무대의 문을 두드린다. 지난해 LG아트센터 시그니처홀에서 올린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는 유승호와 손호준, 고준희, 태항호 등 다양한 얼굴들이 무대에 올랐다. 대중에게 익숙한 배우들을 기용하고, 연극의 규모를 키우면서 예전 중·소극장의 전유물이었던 연극이 대극장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것도 최근의 추세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연극 '파우스트'에 출연하는 배우 박해수 [사진=LG아트센터, ㈜샘컴퍼니, ㈜ARTEC] 2023.04.06 jyyang@newspim.com |
이같은 추세는 올해도 이어진다. 국립극단은 올 11월 1200여 석 규모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창작극 '허난설헌'(가제) 초연을 올린다. 에스엔코에서도 올해 11월 웨스트엔드 연극 '라이프 오브 파이'를 들여와 국내에서 초연한다. 2023년 김유정, 김성철의 출연으로 화제를 모았던 '셰익스피어 인 러브'도 올해
초연 당시 박소담의 연극 데뷔작으로 주목받았던 연극 '렛미인'도 중극장 규모의 CJ토월극장에서 제작돼 올해 7, 8월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4년 만에 공연한다. 오는 5월 LG아트센터가 1300석 규모 LG시그니처홀에서 초연하는 기획제작 연극 '헤다 가블러' 역시 배우 이영애의 출연을 타진한다는 소식으로 이미 화제가 됐다.
매체에서 인지도를 쌓은 배우들이 무대를 오가는 건 흔한 일이 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같은 현상을 긍정적으로만 해석하지는 않는다. 항간에서는 스타 캐스팅이 연극의 티켓값을 올린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동시에 영화와 드라마, OTT 등 매체 콘텐츠 제작 편수가 줄어들면서 배우들이 자연스럽게 무대의 문을 두드리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대에선 매체에서만큼 출연료를 보장받지는 못해도, 쉬느니 연기를 연습하고 경력을 쌓겠다는 의지다.
연극 '렛미인' 포스터. [사진=신시컴퍼니] |
한 배우 기획사 관계자는 "연극 무대에 출연하고 싶어하는 배우들이 많아진 지는 몇 년 됐다"면서 "코로나 이후로 콘텐츠 제작 편수가 줄어들면서 자연스레 일이 줄고, 쉬느니 관객들 앞에서 연기하고 평가받겠다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연극 오디션이나 미팅 자리를 요청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연극 무대가 뮤지컬 무대보다는 접근이 용이다하다는 장점도 있다. 조승우, 김성철 같은 배우들처럼 무대에서 오랜 내공을 쌓아온 이들이 아니고선 갑작스레 뮤지컬 무대에서 수십곡에 달하는 넘버를 소화하긴 역부족이다. 무대와 매체의 차이를 이해하는 이들은 어디에든 잘 적응해 호평을 이끌어낸다. 하지만 기본적인 연기력과 소양이 부족한 이들은 관객들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기도 한다.
업계에선 스타 캐스팅이나, 티켓값 상승 등의 원인을 배우에게서만 찾지는 않는다. 어느 분야든 양극화와 명암은 있다는 게 다수의 의견이다. 몇 가지 문제가 있다해도, TV와 스크린, 무대를 자유롭게 오가는 배우들의 활약이 연극의 영역을 확장하고 대중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면 나쁠 것이 없다.
"제 2의 황정민, 조승우, 또 박해수가 출현하는 것이 연극계엔 더없이 좋은 일이 아니겠냐"는 것이 다수연극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