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만의 동반흑자…3년치 수주 잔고 확보
HD현대중공업 VS 한화오션, MRO 사업으로 경쟁
삼성중공업은 FLNG로 차별화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지난해 국내 조선 3사(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삼성중공업)이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기록했다. 고부가가치 선박 위주의 선별 수주가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되면서 합산 영업익은 2조원을 넘겼다. 올해도 3년치 수주 잔고를 유지하면서 호황을 예고했다.
![]() |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사진=HD현대중공업] |
◆ 조선 3사 3년치 일감 쌓았다…올해도 호황
6일 3사 공시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매출 25조5386억원, 영업이익 1조434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9%, 408% 증가한 수치다. 특히 HD현대중공업은 4분기 영업이익이 2822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103.5% 이상 증가하는 성적을 냈다. HD한국조선해양은 2019년 조선3사 통합 법인 출범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영업이익 5027억원을 거뒀으며 한화오션은 영업이익 2379억원을 기록하며 4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조선 3사가 동반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조선 3사의 지난해 합산 영업 이익은 2조1747억원으로 전년(3191억원) 대비 7배 늘었다.
올해도 국내 조선업 호황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수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호조다.
저가 물량을 유지하면서 기술 격차를 줄인 중국 조선업계 점유율은 변수로 남아있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신규 선박 수주점유율은 70.6%에 달했다. 덩달아 한국의 수주 잔량도 감소했다.
![]() |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 전경 [사진=한화오션] |
◆ LNG·MRO·해양 플랜트로 중국과 격차 넓힌다
각 사는 LNG선박 등 고부가치선을 위주로 수익성을 높이면서 회사의 특장점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실적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중국과 격차를 벌일 수 있는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해상 풍력선, 해상 플랜트 등의 선박의 점유율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은 MRO사업에서 경쟁할 예정이다. 한화오션은 올해 미국 MRO 비중을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해 미 해군으로부터 수주한 2척의 MRO 신규 수주에 더해 올해 미 MRO 5~6척 추가 수주 목표를 밝힌 바 있다. 한화오션은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면서 현지 조선소라는 유리한 환경을 선점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2월부터 MRO 사업에 입찰하며 연내 최대 3척의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주 프로젝트는 지난해 한화오션이 수주한 프로젝트와 유사한 건이 될 예정이며 국내 중소조선소와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FLNG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시추하고 액화·저장·하역까지 할 수 있는 해양플랜트 설비다. 1척당 가격이 2조~3조원대로 고부가 선박이기는 하지만 기술 난이도가 높아 연구·투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25억 달러 규모의 모잠비크 '코랄 술' FLNG 2호기 수주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었지만, 모잠비크 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계약이 미뤄졌다. 해당 계약이 올해 체결될 경우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올해 3사는 수주 목표를 높여 잡았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수주 목표를 전년 대비 33.7% 높여 180억5000만 달러로 정했고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97억 달러보다 소폭 높인 98억 달러로 제시했다. 한화오션은 수주 목표를 공개하지 않았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