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삼성, 대우, DL이앤씨 등 건설사 지난해 영업이익 감소
고금리 지속적인 원가율 상승, 수익성 악화 주요 원인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및 건설 경기 활성화 정책 지원 필요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건설 경기가 급격히 얼어붙은 가운데 주요 건설사들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역성장하는 부진을 겪었다. 공사 원가 상승 부담과 경기 악화의 맞바람 속에 건설 업계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실적이 공개된 주요 건설사들의 영업 이익이 대부분 하락세를 띄었다. 고환율 장기화와 공사 원가 급등이라는 악재 속 건설 경기의 악화일로가 이와 같은 건설사들의 영업이익 악화를 부채질한 것으로 분석된다.
![]() |
업계 맏형 격인 현대건설은 32조6944억(전년 대비 10.3% 증가)의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1조원대의 적자를 보고했다. 2001년 이후 23년 만에 적자로, 자회사 현대 엔지니어링의 해외 프로젝트 대규모 손실을 반영한 결과라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다만 전년도 원가율(매출액 대비 매출 원가 비율)이 100.6%를 기록해, 공사를 할수록 손해를 보는 수준이 된 것 역시도 이와 같은 실적 악화를 불렀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DL이앤씨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8.1% 감소한 2709억을 기록했다. 현대건설과 같이 매출액은 늘었지만 되레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인데, 이는 자회사인 DL건설의 일부 현장의 원가율 조정과 대손을 반영한데 따른 결과라는 설명이다. DL건설의 4분기 원가율은 91.8%로 90%대를 기록해 87.1%인 모회사 DL이앤씨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줬다.
지난해 시공능력 1위를 기록한 삼성물산 건설부문 역시 매출 18조6550억원, 1조 1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3.4%, 3.2% 감소했다.
수주잔고 확보와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운영으로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을 받았지만, 테일러 반도체 공장 등 하이테크 물량을 비롯해 카타르 LNG 수출기지 탱크, 아랍에미리트 원전 등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가 종료된데다 공사 원가 증가 등 대내외적 악재를 완전히 비껴가지는 못했다.
아이에스 동서는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1조5148억원(전년 대비 25% 감소), 영업이익 1737억원(전년 대비 49% 감소)을 기록했고, 당기순손실 1570억원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 |
[사진=뉴스핌DB] |
수주 성과를 낸 건설사들도 이와 같은 실적 감소를 피해 가지 못했다. 2024년 말 기준 44조4401억원의 수주잔고로 4.2년치 일감을 확보한 대우건설은 최근 발표된 연간 잠정 실적에서 매출 10조5036억, 영업이익 4031억을 기록해 전년대비 각각 9.8%, 39.2% 감소했다. 특히 순이익은 53.4% 급감한 2428억원을 기록했다.
진행 현장 수 감소와 지속되는 원가율 상승, 일부 주택현장의 일시적 추가 원가 반영이 이와 같은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대우건설의 원가율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87.94%→89.62%→91.2%) 공사비 상승의 여파를 지속적으로 받았다. 대우건설은 신년사를 통해 내실경영을 통한 리스크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워, 원가율 방어 역시도 올해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신규 수주 4조원을 넘어서며 최대 수주를 기록하며 지난해 말 기준 5년치 일감을 확보한 코오롱글로벌 역시 매출 2조904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9.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32억원 감소한 -455억원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오히려 검단아파트 주차장 붕괴 등의 건설 악재를 겪은 GS건설은 매출액은 12조8638억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86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와 같은 건설사의 영업이익 감소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결국 재무 건전성 악화로 이어진다. 인건비 상승, 고금리, PF 대출 연체율 증가 등 악재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가 지속될 경우 공급 부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원가율이 높은 수준으로 치솟은 데다 건설사 악재 중 하나인 PF 금융 연체율이 3.6%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비용 지출이 많으니 매출이 늘어도 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건설 업계의 악순환이 반복될 따름"이라며 "시장 순기능을 위해 당국에서 세제 혜택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