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3년간 총 127억원 투입… 4개 세부 기술 개발·검증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TF도 구성·운영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올해를 K-하이퍼튜브의 원년으로 삼고, 철로 위 비행기인 하이퍼튜브 열차의 핵심 기술 연구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 |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념도. [자료=국토교통부] |
9일 국토교통부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 핵심 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127억원,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연구를 주관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운 후, 열차와 선로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2013년에 기술 착수와 함께 '하이퍼루프'라는 이름으로 도입됐으며 한국과 유럽은 하이퍼튜브로 명명했다.
비행기보다 빠르고 친환경적이며 기상 영향을 적게 받는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시속 1200km 가까이 주행 가능한 철도로,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KTX(시속 300km)를 타면 1시간 52분(무정차 운행 기준)이 소요되지만 하이퍼튜브로는 20분 내 주파할 수 있다. 지역 간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꿈의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의 초격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속 주행하도록 하는 자기부상·추진 기술, 극한 환경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등이 요구된다. 아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도 개발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자기부상·추진 기술에 대한 것이다.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한다. 위원장은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이다.
윤 국장은 "하이퍼튜브는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한국은 20년 전 고속철도 수입국에서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수출국으로 도약한 만큼,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